NASA 인재 청사진 나온다 우주항공청 개청 D-100

NASA 인재

NASA 인재 청사진 나온다 우주항공청 개청 D-100

NASA 인재 청사진 나온다 우주항공청 개청 D-100

코로나19 이후 과학자 더 믿는다 한국은 세계 평균 미만

정부가 목표한 우주항공청 개청일이 100일 뒤로 다가왔다.

우주항공청 설립 법안이 지난달 국회의 벽을 넘으면서 최단시간 내 개청을 공언한 만큼 우주항공청을 향한 정부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8일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을 입법예고했다.

우주항공청 청사가 들어설 건물과 정원도 이달 안으로 확정해 개청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구상이다.

우주항공청 설립 특별법이 지난달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정부는 가능한 가장 빠른 시일 내로 개청 작업을 마무리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재형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장은 지난달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법안 공포와 시행 시점을 고려했을 때

빠르면 5월 27일이 우주항공청 개청 목표일”이라며 “늦어도 5월 29일까지는 마무리해 5월을 넘기지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목표대로라면 우주항공청 개청까지 남은 시간은 단 100일이다. 청 신설을 준비하기에는 촉박한 시간이지만

속도전을 통해 개청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내 우주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주항공청 설립이 시급하다”며

“우주항공청법 통과를 기다리며 내부적으로는 선제적인 준비를 해뒀다”고 설명했다.

우주항공청 청사가 들어설 건물과 정원도 이달 안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가장 유력한 청사 후보지는 경남 사천의 아론비행선박산업 건물이다.

과기정통부가 공모한 임시청사 임차 건물 모집에 아론비행선박산업과 솔메디칼 두 곳이 제안서를 제출했고, 아론비행선박산업이 최근 우선협상 대상으로 정해졌다.

이재형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장은 “임시 청사로 사용할 건물에 대해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했다”며

“검토를 거쳐 계약이 성사되면 사무실·통신망 구축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주항공청의 핵심 두뇌 역할을 할 직원 규모도 현재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당초 300명 규모의 정원으로 우주항공청을 구성하겠다는 구상을 공개했다.

다만 신설 기관의 정원은 행정안전부와 협의하고 기획재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확정된다.

현재 행안부와의 협의는 마친 상태로 기획재정부에 인력 규모 필요성을 설명하는 단계에 있다.

이 단장은 “현재 협의하고 있는 사안으로 구체적인 정원 규모를 밝힐 수는 없다”면서도 “이달 안으로 협의를 마친다는 목표”라고 말했다.

정원이 확정되면 본격적인 직원 채용에 나선다.

우선적으로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한 유관 부처에서 인력을 충원하고 민간

전문가는 임기제 공무원 형태로 충원하는 방식이다.

우주항공청 특별법 시행령은 청장에게 임기제 공무원 채용에 관한 권한을 부여하고 있지만

아직 청장이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출범 단계에서의 직원 채용은 추진단이 어느 정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우주청 정원은 300명 정도지만 5월 출범 때는 일단 50명 안팎으로 인원을 꾸릴 것으로 보인다.

이 단장은 “정보화 시스템 구축, 정주 여건 개선을 비롯해 여러 사항도 검토에 들어갔다”며 “우주항공청 개청을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출범 때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가장 중요한 건 초대 우주항공청장 인선이다.

우주항공청장은 차관급 직위로 대통령실에서 임명한다.

현재 학계, 산업계를 비롯해 해외 기관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연구자들이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는 상태다.

우주항공업계의 고위관계자는 “우주청장 후보는 20명에서 시작해 현재 6명까지 후보군을 좁힌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국내파를 인선하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크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해외 석학을 초대 청장에 인선하고 싶은 마음이 큰 탓에 아직까지 결정이 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우주항공 업무를 총괄해온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에서 우주항공청에 누가 가야 할지도 정해지지 않았다.

우주항공 업무를 맡아온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국 소속 공무원들이 거론되고 있지만, 손을 드는 인물이 거의 없어 과기정통부도 난처한 상황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