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임무는 11월

양산형 초소형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임무는 11월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임무는 11월

디지털 혁명의 다음은 3D 가상 세계에서 일하고 노는 세상 온다

국내 최초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오전 7시 32분쯤(한국 시각)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서 미국 발사체 기업

로켓랩의 ‘일렉트론’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당초 이날 오전 7시 8분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다른 우주비행체와 충돌 가능성이 있어 다소 늦어졌다. 발사 중간 지상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한 차례 또 지연되기도 했다.

일렉트론은 발사 약 9분 뒤인 오전 7시 41분 단 분리에 성공하면서 순항을 이어가고 있다.

최종적인 위성 사출은 발사 약 50분 뒤인 이날 오전 8시 22분쯤 예정돼 있다.

발사 4시간 24분 후인 오전 11시 56분에는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교신할 예정이다. 위성 교신 여부에 따라 발사 성공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정밀 감시하고 국가 안보와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개발됐다.

개발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주도했다.

이번에 발사한 위성은 총 11기로 구성된 군집위성의 첫 번째 위성이다.

500㎞ 고도에서 흑백 영상은 해상도 1m, 컬러 영상은 4m 수준의 전자광학카메라가 달려 있는 지구관측위성이다.

올해 첫 발사 이후 2026년 6월 5기, 2027년 9월에 5기를 추가로 발사한다.

한 궤도 경사면에 2기씩, 모두 5개 궤도 경사면을 운용해 한반도를 하루에 3차례 촬영할 수 있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의 본격적인 임무는 올해 11월부터 시작된다.

위성이 예정된 궤도를 돌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성능 점검은 항우연과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이 맡는다.

본격적으로 임무가 시작되면 제주 위성관제센터가 맡아 운영한다. 운영 기간은 3년으로 예정돼 있다.

네온샛 1호 이날 오전 7시 32분(한국 시각)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서 로켓랩의 ‘일렉트론’ 로켓에 탑재돼 발사됐다.

네온샛 1호는 발사 후 약 50분 뒤인 오전 8시 22분쯤 로켓과 최종 분리됐다.

1단엔진과 페어링, 2단 엔진 분리 등 발사 과정을 순조롭게 마치고, 킥 스테이지를 이용해 위성을 최종 궤도에 투입한 것이다.

네온샛 1호는 지구를 2바퀴가량 돈 뒤 오전 11시 55분쯤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지상국과 초기 교신을 하게 된다.

당초 이날 오전 7시 8분쯤 발사가 예정돼 있었으나 타 우주비행체와 충돌 가능성, 현장 점검 등으로 발사가 지연됐다.

네온샛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KAIST가 과기정통부 지원을 받아 개발해왔다. 네온샛은 2026년과 2027년 각각 5기를 추가 발사해 초소형 위성 총 11기가 군집 운영된다.

중대형 단일 지구관측 위성보다 자주 한반도 지역을 찍을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11기가 군집 운영될 경우 매일 3회 이상 한반도 지역의 촬영이 가능해진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