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도 계절 있었다 생명체 탄생했을 진흙 균열 확인

화성에도

화성에도 계절 있었다 생명체 탄생했을 진흙 균열 확인

화성에도 계절 있었다 생명체 탄생했을 진흙 균열 확인

펭귄 살려 남극에 평년 38도 웃도는 폭염 닥쳤다

화성에도 계절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지질학 화석이 발견됐다.

38억년 전에 진흙이 마르면서 육각형 모양으로 갈라진 흔적이다.

이런 모양은 지구처럼 건기와 우기가 반복될 때 가능하다는 점에서 초기 화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었던 환경을 확인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프랑스 천체물리학 및 행성학 연구소의 행성 과학자 윌리엄 라핀(William Rapin)은 10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큐리오시티 로버가 화성의 게일 충돌구에 있는

36억년 전 퇴적층에서 육각형 형태의 소금 퇴적물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한 육각형은 화성에 건기와 우기가 주기적으로 반복됐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화석 증거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앞서 다른 연구에서 생명체의 필수 물질이 만들어지려면 분자들이

서로 다른 농도에서 반복적으로 상호작용해야 한다고 밝혀졌다. 건기와 우기가 반복돼야 그런 농도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 육각형 지질 화석은 화성에 생명체가 탄생하는 데 필수적인 환경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습기, 우기 반복하며 육각형 균열 만들어져

큐리오시티 로버는 지난 2021년 게일 충돌구에서 5km 높이의 샤프산을 올라갔다.

로버는 점토층과 그 위 황산염이 풍부한 층 사이에 있는 ‘퐁투르(Pontours)’라는 별명을 가진 암석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진흙 균열을 발견했다.

각각의 육각형의 폭은 4㎝였다. 당시 수심은 2㎝였던 것으로 추정됐다.

점토는 일반적으로 물에서 형성되지만, 황산염은 물이 마르면서 형성된다.

육각형 균열은 물이 찼다가 마르면서 생겼다는 의미다. 큐리오시티의 정밀 레이저 장비인 켐캠(ChemCam)은

진흙이 갈라진 가장자리에서 단단한 황산염층을 확인했다.

이 염분층이 일종의 보호막이 돼 진흙 균열이 수십억 년 동안 보존될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과학자들이 화성의 지질을 조사하는 것은 그 자체가 과거 역사를 보여주는 화석이기 때문이다.

지구는 지각판들이 서로 부딪히며 끊임없이 변하지만, 화성은 그런 판 구조가 없어 수십억년 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1990년대에 화성 궤도를 돌던 나사 탐사선은 처음으로 화성에서 말라버린 강과 협곡, 삼각주, 퇴적층을 포착했다.

이는 과거 화성에도 액체 상태의 물이 흘렀다는 증거여서 생명체 발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나사 제트추진연구소의 큐리오시티 로버 프로젝트의 애쉬윈 바사바다(Ashwin Vasavada) 박사는 “표면의 지질학적 특징은 고대 화성의 기후가 지금보다

훨씬 더 따뜻하고 습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라핀 박사는 처음 화성의 진흙이 마르면서 갈라졌을 때는 날카로운 T자형 각도를 가진 정사각형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다가 다시 진흙에 물이 찰 때마다 균열이 조금씩 달라붙었다가 땅이 다시 마르면 벌어지길 반복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균열의 날카로운 각도가 Y자 모양으로 부드러워지면서 이번에 발견한 육각형 모양이 만들어진다고 라핀 박사는 말했다.

라핀 박사는 “습했다가 마르기를 반복하지 않고는 육각형 형태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건기와 우기의 반복이 수천에서 수백만 년 동안 계절에 따라 지속됐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