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트 무버 되고 싶다면 대학에 더 투자해야

퍼스트 무버 되고

퍼스트 무버 되고 싶다면 대학에 더 투자해야

퍼스트 무버 되고 싶다면 대학에 더 투자해야

사각형의 마법 부리는 아제티딘 효율 높이는 합성법 나왔다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은 공학계와 교육계는 물론 산업계에서도 인정받는 공학 교육의 대가로 꼽힌다.

그는 미국 버팔로 뉴욕주립대를 거쳐 1989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공대생들을 가르친 공학자이자 교육자다.

KAIST에선 신기술창업지원단 단장, 공대 학장, 정보과학기술대학 학장, 교학부총장을 지내며 학술 영역과 산학 협력, 교육의 영역을 넘나들었다.

2018년에는 KAIST 창의강의대상을 받았고, 이듬해인 2019년 UNIST 총장으로 부임했다.

UNIST에서는 이전까지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던 학사과정 교육을 대대적으로 혁신했다.

이 총장은 연구중심대학의 학사과정을 ‘K팝 아티스트’의 연습생 생활에 종종 비유한다.

연습생 생활을 제대로 거쳐야 K팝 아티스트로 성공하듯이 학사과정에서 촘촘한 교육을 받아야 대학원 이후에도 제대로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턴십과 창업동아리 활동을 강화해 실전형 공학교육의 비전도 제시했다.

이 총장이 취임한 이후 UNIST의 평판이 많이 달라졌다.

이제는 4대 과학기술원과 포스텍의 순위를 말할 때 과학기술계 대부분이 UNIST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다음으로 놓는다.

2019년 11월 취임한 이 총장의 공식 임기는 작년 11월로 끝났다.

지금은 차기 총장을 뽑은 절차가 진행 중이다. 연임 의지를 밝힌 이 총장을 지난 23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의 UNIST 본관에서 만났다.

지난 4년간의 성과와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4년 더’를 결심한 이유는 무엇인지 물었다.

4년의 임기를 마쳤다. 가장 기억에 남는 성과가 있다면.

“처음 유니스트에 왔을 때 재정적으로 거의 파산 상태였다고 생각한다.

소관 부처가 교육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바뀌면서 인건비 지원이 절반으로 깎였다.

교원 인건비에서 정부가 지원하는 비중이 2015년을 기점으로 78%에서 43%로 줄었다.

인건비 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지금은 49% 수준이 됐다. 여전히 노력해야 할 부분이 많지만 고비는 넘겼다.

유니스트의 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있었다.

유니스트는 에너지와 화학 분야가 강한데 비해 IT 분야는 약했다.

그래서 4년 동안 인공지능, 탄소중립, 반도체, 바이오메디컬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하나씩 대학원을 신설했다.

IT 분야를 키우기 위해 노력했다.

교수를 충원하고, 삼성반도체 계약학과와 반도체특성화대학원을 만들면서 반도체 불모지였던 울산에 반도체를 특화산업으로 키울 기반을 닦았다.

울산지역의 정밀화학 기업이 반도체소재부품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물꼬를 터주고 있다.”

연임을 결심한 이유가 궁금하다.

“지난 4년 동안 대학원을 새로 런칭한 분야를 더 성장시켜야 한다.

AI는 젊은 교수들이 열심히 하고 있지만 아직은 리더십이 약하다.

반도체는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분야다.

KAIST에 있는 동안 AI와 반도체 분야를 육성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사람을 뽑고, 투자를 해야 하는지 누구보다 잘 안다고 생각한다.

탄소중립 분야에서도 연구 성과를 실증할 수 있는 실증파크를 기획 중인데, 내 손으로 진행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의과학 분야도 강화해야 한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유니스트에 통합하는 방안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지방자치단체와 논의 중이다.

다른 사람들도 잘 할 수 있겠지만, 공학교육과 행정에서는 누구보다 전문가라고 생각한다. 맡겨주면 열심히 하겠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