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는 좁다 기업의 다음 무대는 우주 경영학자의 행성경제론

지구는 좁다

지구는 좁다 기업의 다음 무대는 우주 경영학자의 행성경제론

지구는 좁다 기업의 다음 무대는 우주 경영학자의 행성경제론

사람이 우주로 가는 시대 우주인 위한 의학도 필요

2020년 초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30년 안에 화성으로 100만명을 보내겠다는 글을 올렸을 때 주변의 반응은 싸늘했다.

그가 주도한 재활용 발사체의 신화 같은 성공을 목격한 열혈 지지자조차 무리수라고 했다.

미국 정부가 반세기만에 다시 달에 우주인 두 명을 보내겠다는 마당에 작은 나라 인구에 맞먹는

사람을 달보다 600배나 먼 곳까지 이주시키겠다는 것은 그야말로 허무맹랑한 계획이라고 비판이 쏟아졌다.

당시 머스크가 한 발언을 다르게, 그리고 진지하게 받아들인 한 경영학자가 있었다.

머스크의 주장이야말로 반세기 넘게 이어진 경제 패러다임을 무너뜨리는 전환의 신호탄이라고 본 것이다.

권오병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는 “일론 머스크의 100만명 화성 이주계획은 정부가 주도하던 ‘올드 스페이스’ 시대에 마침표를 찍었다”며

“기업들이 60년간 통용된 글로벌 경제에서 벗어나 ‘행성경제’라는 더 큰 틀로 옮겨가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권 교수는 대학에서 경영정보학과 데이터 과학을 가르쳤다.

하지만 지금은 우주경제 시대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양성하고 있다.

그는 우주에 지구와 같은 산업 생태계를 꽃 피우려면 과학자와 엔지니어만으론 어렵다고 말한다.

엄혹한 우주환경을 극복할 기술을 극복하며 더 많은 사람과 기업을 우주에 보내려면 마케팅과 경영, 법률, 인사 같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재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권 교수는 “다양성은 우주경제를 풍성하게 하는 힘”이라고 말했다.

권 교수는 2021년 뜻을 함께하는 우주 전문가들과 모임을 만들었다.

경희대 경영학과와 우주과학과, 기계공학과, 후마니타스칼리지를 주축으로 출범한 ‘K-스페이스 워킹그룹’이다.

과학자와 공학자, 엔지니어, 군인과 정책가, 우주 관광시대를 궁금해 하는 학자가 알음알음 모였다.

미 대사관과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 관계자들도 소문을 듣고 참여했다.

지난 1월에는 우주항공청 개청을 앞두고 존 리 전 나사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본부장을 초청해 ‘한국형 나사’의 방향과 과제를 듣는 자리도 마련했다.

존 리 전 본부장은 지난 30일 문을 연 우주항공청 첫 우주항공임무본부장으로 선임됐다.

모임은 올초까지 10차례 행사를 열었다.

여느 우주 행사와 다르게 모임은 전통적인 우주산업인 발사체와 위성 기술에만 집착하지 않고, 산업과 경제, 국방, 외교, 교육 등 다양한 관점에서 현안을 짚었다.

지금까지 K-스페이스 워킹그룹에 참가한 국내외 전문가만 300여명에 이른다.

우주경제 분야에선 국내 최대 규모의 전문가 네트워크이다.

지난달 23일 대학 축제가 한창이던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에서 만난 권 교수는

“꼭 로켓이나 위성을 만드는 전통의 우주기업은 물론 일반 기업에도 우주가 시장이 되고 있다”며

“한국의 기업들도 이제는 행성경제, 우주경제 시대를 말할 때가 왔다”고 했다.

권 교수는 5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열리는 ‘스페이스K’에서 우주경제 시대에 새로운 시장을 발견하는 기업들을 주제로 발표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