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도 간지럼타며 웃는다 놀이·장난 즐기는 건 뇌의 ‘이것’ 때문

쥐도 간지럼타며

쥐도 간지럼타며 웃는다 놀이·장난 즐기는 건 뇌의 ‘이것’ 때문

쥐도 간지럼타며 웃는다 놀이·장난 즐기는 건 뇌의 ‘이것’ 때문

초음파 브라 입고 집에서 유방암 진단

독일 연구진이 쥐를 간지럽히고 뇌 활동을 측정해 뇌 속의 ‘수도관 주위 회색질’이 놀이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마이클 브레히트 독일 훔볼트대 번스타인컴퓨터신경과학센터 교수 연구진은 28일 놀이와 웃음의

신경적 기반을 이해하기 위해 쥐의 뇌를 연구한 내용을 국제 학술지 ‘뉴런’에 공개했다.

신경과학 분야에서 ‘놀이’는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유형의 행동 중 하나로 꼽힌다. 두려움이나 공격성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웃음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진은 연구 대상인 쥐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기다렸다가, 안정을 찾으면 일종의 게임을 했다.

연구자들의 손과 술래잡기를 하듯 서로 쫓다가 쥐의 등과 배를 간질였다.

쥐는 즐거울 때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높은 소리로 ‘끽끽’거린다. 연구진은 이 소리를 모니터링하며 쥐의 뇌 활동을 살폈다.

그 결과, 간지럼타며 놀 때 쥐 뇌의 ‘수도관 주위 회색질(PAG, periaqueductal grey)’의 측면 기둥에서 강한 신경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반대로 이 부분을 억제하면 쥐는 놀이를 멈추고 자주 웃지 않았다.

불안한 환경에서도 PAG의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PAG는 중뇌에 위치하며 자율 기능이나 위협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을 하는 부위다.

놀이 과정 중에서도 위협 반응에 대한 신경이 자극되는 것이다. 브레히트 교수는 “많은 사람이 놀이를 유치한 행동이라고

생각하지만 과소평가된 것”이라며 “놀이는 자기 훈련 행동으로 성장하는 두뇌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앞으로도 다른 동물이 놀 때 유사한 PAG 활동을 보이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제프리 버그도프 미국 노스웨스턴대 바이오메디컬공학부 교수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지에

“이번 연구가 인간의 놀이에 대한 신경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불안이나 우울증 환자를 위한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오근호 한양대 명예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지난 22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상온상압에서 초전도성을 갖는 납 기반 물질을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다른 과학자들의 심사를 거쳐 정식으로 출판되지 않고 연구자가 쓴 논문을 수정 없이 그대로 인터넷에 올린 것이다.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의 석좌연구원이 마이클 노먼(Michael Norman) 박사는 이를 두고 지난 27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정말 아마추어처럼 보인다”며 “해당 연구진은 초전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일부 데이터를 제시하는 방식이 수상쩍다”고 말했다.

일리노이대의 응집 물질 물리학자인 나디아 메이슨(Nadya Mason) 교수는 “저자들이 (상온 초전도체) 제작 기술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해 준 것에 감사한다”면서도 “데이터가 약간 엉성해 보인다”고 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