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우주로의 새 도약 성공할 수 있을까?

인류는 우주로의 새 도약

인류는 우주로의 새 도약 과연 목표를 실현할 수 있을까?

현재 우주엔 미국과 중국의 경쟁 구도라는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우주 탐사 프로젝트에 얼마나 난관이 많은지 생각해보면 이 두 초강대국조차도 모든 걸 혼자 해내진 못 할 것이다.

페트병 재사용 안전성 , 페트병 여러 번 사용해도 될까?

양국은 약 10년 안에 지구가 아닌 다른 곳에 인류를 정착시키겠다는 목표 등

기술적으로 매우 까다롭고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는 목표를 앞다퉈 나왔다.

그런데 지구상의 국제 사회도 분열돼 제대로 협력하지 못하는 상황에 인류는 과연 이러한 목표를 실현할 수 있을까.

먼저 미 항공우주국(NASA)이 달 복귀를 선언하며 발표한 ‘아르테미스’ 계획이 그 첫발을 내디뎠다.

해당 계획은 총 3단계로 이뤄졌다.

우선 1단계로 무인 발사체 우주발사시스템(SLS)이 우주로 날아가며

발사체 및 관련 기술의 실제 작동 여부를 시험했다.

향후 2단계에선 유인 우주선이 이전보다 훨씬 더 먼 우주로 향할 예정이며,

3단계에선 우주비행사들이 일주일간 달에 머무르며 실험을 진행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달을 전초 기지로 삼아 화성 등 다른 행성으로 향하는 게 이 장기 계획의 목표다.

그러나 이 달 탐사 계획엔 930억달러(약 125조원)가 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경제적 압박을 느끼고 있는 미국 납세자들에겐 부담스러운 가격표다.

실제로 지난해 미 감사원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비현실적인 개발 일정”

과 예산 초과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NASA가 비용 추정치의 “신뢰도와 투명성의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NASA는 올해 요청한 금액보단 전반적으로 적은 금액을 배정받겠지만,

여전히 미국 의회는 유인 우주 탐사의 꿈을 지지한다.

한편 중국은 예정대로 독자적인 우주정거장 ‘톈궁’ 건설 목표를 달성했으며,

달과 화성에 탐사선도 발사했다.

이뿐만 아니라 2025년엔 달에 무인 연구소를 설립한 뒤 2030년까지

우주비행사들을 달 표면에 보낼 계획이다.

한편 유인 달 탐사는 전례가 있으나, 화성은 그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 존재다.

우선 화성은 지구에서 달보다 250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그렇기에 현존 기술로는 이 붉은 행성에 사람을 보낼 수 없다.

비록 과학자들이 엄청난 연료를 싣고도 안전하게 로켓을 발사하는 방법과 얇은 대기를 지닌 화성에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방법을 찾아낸다고 할지라도, 몇 달간 우주에서 지낸 우주 비행사들이

다시 안전하게 지구로 귀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역사적으로 초강대국들은 우주 패권을 놓고 다투었다.

먼저 미국과 러시아가 1950년대~1960년대 우주 강국 자리를 두고 경쟁했으며,

그 결과 러시아가 먼저 처음으로 우주에 사람을 보냈다.

이에 질세라 몇 년 후 미국은 달에 유인 우주선을 보내 착륙시키며 달 표면에 깃발을 꽂았다.

이후 1970년대부턴 국제사회가 우주 탐사 분야에서 보여준 협력은

1998년 국제우주정거장(ISS) 건설이 시작되며 그 절정을 이룬다.

미국과 러시아는 다른 13개국과 함께 현재까지 우주에서 가장 큰 인공 구조물인 ISS를 건설했다.

특정국의 소유가 아닌 ISS 내에서 참여국들은 각자 맡은 부분이 있기에 서로 의존해야 한다.

인류는 우주로의 새 도약 억만장자 우주비행사

사실 우주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빠질 수 없는 존재다.

일기 예보, 전자 기기를 통한 소통, 은행 송금은 물론 국가의 감시망 또한 인공위성이 존재하기에 가능하다.

그리고 지구 주위는 점점 더 붐비고 있다. 2021년에만 위성 약 5000개가 발사됐다.

2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매년 약 800개가 발사됐다.

우주 탐사는 비싸고 기술적으로 어려운 분야이기에 그 어떤 나라도 혼자 해낼 순 없다.

이에 따라 새로운 파트너십이 구축되는 가운데, 억만장자들이 자신만만하게 뛰어들었다.

먼저 미국의 억만장자 사업가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사는 이미 승객들을 태우고 지구 궤도를 비행했다.

스페이스X는 로켓을 재사용하며 비용을 절감한다.

이에 질세라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는 상업용 우주정거장 ‘오비탈 리프’ 건설을 꿈꾸고 있다.

한편 1991년 소련의 ‘미르’ 우주정거장에 탑승했던 영국 최초의 우주비행사 헬렌 샤먼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국제 우주 패권 경쟁의 의미가 민간 부문의

상업적 경쟁에 밀려 퇴색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샤먼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전 세계 기업들이 몰리며 극도로 상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