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에 기후변화 시한폭탄 있다

북극해에 기후변화

북극해에 기후변화 시한폭탄 있다

북극해에 기후변화 시한폭탄 있다

베이조스도 우주 인터넷 위성 발사 머스크와 본격 경쟁

국내 연구진이 북극해에서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수십 배 강한 메탄가스를 분출하는 구멍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북극해 탐사 항해 중 나온 성과다.

극지연구소는 홍종국 연구원 연구팀이 북극 동시베리아해 바닥에서 폭 10m 정도의 메탄가스

원형 방출구를 다수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북극해에서 고농도 메탄이 방출되는

현상은 이전에도 관측됐지만, 실제 방출구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해저면에서 반사되는 음파를 기록하는 수중영상촬영 장비를 이용해 북극

동시베리아해 수심 약 50m 대륙붕 해저를 탐사했다. 발견된 메탄가스 방출구는 10개 이상으로,

가장 큰 구멍은 폭이 최대 15m로 확인됐다.

북극해의 메탄가스 방출구는 북극해 대륙붕에 있는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메탄가스가 해저에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메탄가스는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6차 보고서에서

지목한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이산화탄소와 비교해 지구온난화 영향은 21배, 온실효과는 80배에 달한다.

연구팀은 북극해 동시베리아해역에 연간 메탄 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관측장비를 설치했다.

일 년 뒤에 장비를 회수해 북극 해저 메탄가스 방출 현상의 변화를 정량화하고,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북극에서 온난화의 증거가 여럿 발견된다고 설명했다.

북위 80도 부근 동시베리아해역에서 바다 얼음이 예년보다 많이 녹거나 심해 카메라에 난류성 어종인 오징어가 관찰됐다.

또 길이가 71㎝에 달하는 대게가 잡힌 것도 이례적이다. 대게는 주로 동시베리아와 미국 알래스카

경계의 아래쪽에 있는 베링해에 주로 서식하는데, 수온이 상승하자 추운 수온을 찾아 북극해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한국의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의 연구 항해 과정 중 이뤄졌다.

아라온호는 90일 동안의 탐사를 마치고 10일 한국에 도착했다.

북극해 연구 외에도 대기 관측을 진행해 기상청과 데이터를 공유했다.

강성호 극지연 소장은 “북극은 현재 북극다움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며

“아라온호가 가져온 탐사 결과들이 따뜻해진 북극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데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뇌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에 의한 감염으로 알려져 있으나,

혈액을 통해 인체 내부로 침투한 감염원(코로나바이러스-2 포함)이 어떻게 뇌수막이나

뇌까지 도달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또 영유아에서 치명적인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보통 성인에서는 뇌수막염을 일으키지 않는데, 그 이유는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연구진은 중추신경계 경계를 이루는 경막, 연질막,

맥락막총의 특성을 비교해 뇌수막의 가장 바깥 부분인 ‘경막’이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조직임을 확인했다.

이곳에서는 뇌척수액과 혈류 양측이 교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막에 있는 정맥동혈관이 뇌수막염 바이러스의 이동 경로임을 밝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