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량 까다로운 다배체 작물 유전자 조합으로 생산성 높인다

개량 까다로운 다배체 작물

개량 까다로운 다배체 작물 유전자 조합으로 생산성 높인다

개량 까다로운 다배체 작물 유전자 조합으로 생산성 높인다

AI가 조종하는 무인전투기 발키리 공중전 시험 통과

국내 연구진이 밀, 감자 같은 다배체 식물이 가진 특성을 활용해 작물 생산량을 높일 방법을 찾았다.

질병 저항성을 높이거나 유용한 성분을 함유한 작물을 만드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순주 경상국립대 응용생명과학부 교수와 김근화 경상국립대 식물생명공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다배체 작물의 유전적 특성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자연계에 서식하는 식물의 대부분은 다배체 형태로 존재한다.

다배체는 유전체가 3배 이상으로 증폭된 생물이다.

유전체가 2배로 증폭돼 있는 사람을 비롯한 대부분의 동물과 달리 다배체는 유전체의 크기가 크고 반복 서열이 많아 연구가 까다로운 분야로 꼽힌다.

최근에는 유전체 해독 기술이 발달하고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이 쉬워지면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진은 국내에 서식하는 가지 종(種) 중 하나인 ‘까마중’의 유전자를 편집해 미국 까마중과 비교했다.

국내 까마중은 유전체가 6배로 증폭된 육배체이고, 미국 까마중은 유전체가 2배로 증폭된 이배체다.

연구 결과 국내 까마중의 유전자 일부에서는 3배로 증폭된 ‘동조 유전자’가 발견됐다.

동조 유전자는 하나의 개체 안에서 발현되는 유전자 중 염기서열과 기능이 유사한 경우를 말한다.

연구진은 꽃대의 발달과 구조를 결정하는 동조 유전자의 숫자가 다양한 식물체를 선별하고 작물 생산량과 연관이 있다는 가정을 세웠다.

실제로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작물 생산량은 유전자의 발현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투여량 효과’를 보였다.

여러 유전자가 어떻게 조합되는지에 따라 동조 유전자가 작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실제로 까마중의 아종인 보라농의 유전자를 편집해 기존보다 수확량이 늘어난 개량 품종을 만들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다배체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다양성을 활용하면 이배체 식물보다 우수한 품종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순주 교수는 “다배체 작물의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질병 저항성이나 대사물질 함유량도 조절할 수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며 “향후 유용한 다배체 작물을 개량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에 지난달 2일 소개됐다.

연구진은 이처럼 가바가 생성, 조절되는 원리와 어떻게 작용하는지,

가바의 억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지속적 가바 전류)이 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등을 이번 논문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