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우주 기관 12월 한국에 모인다
전 세계 우주 기관 12월 한국에 모인다
육식은 기후변화의 적? 탄소 배출 덜 하는 단백질 찾아 나선 기업들
전 세계 우주 기관의 의사 결정권자들이 연말 한국에 모여 우주 탐사 전략을 논의한다.
한국은 최근 이어진 다누리와 누리호 등 우주개발 성과를 중심으로 국제협력에 나설 예정이다.
4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우주 협의체인 국제우주탐사조정그룹(ISECG) 회의가 올해
12월 4일부터 닷새 동안 한국에서 개최된다. ISECG 회의가 한국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ISECG는 국제협력을 통한 우주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26개국 27개 우주 기관이 모여 만든 협의체다.
항우연을 포함해 미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참여하고 있다.
ISECG 회의에서는 ‘글로벌 우주 탐사 로드맵(GER)’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ISECG는 2018년부터 달과 화성 등 심우주 탐사를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왔다.
로드맵은 우주 탐사에 계획을 공유하고, 필요한 기술로 협력하며 우주개발에 나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항우연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와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성과를 토대로 이번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특히 차세대발사체 개발과 2032년 계획된 달 착륙선 등 우주 탐사 로드맵을 알리고 국제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항우연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부터 개최를 신청해 올해 국내에서 회의를 열 수 있게 됐다”며
“한국도 우주 탐사 역량을 보여준 만큼 기술이나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16년 3월 세기의 바둑 대결이 열렸다.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AI) 알파고(AlphaGo)와 한국의 이세돌 9단의 대국이었다.
AI와 인간의 대결로 전 세계의 눈이 바둑판을 향했다.
대결은 4대 1로, 알파고의 승리로 끝났다. 하지만 AI를 향한 인류의 열정은 그 날 시작됐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로 세계가 들썩이면서 수많은 기업이 AI의 활용방안을 고민했다.
챗GPT 출시를 제외하면 AI 전문가들이 가장 바쁘게 이곳저곳 초청되던 시기였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전기전자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전태균 SIA(SI-Analytics·에스아이에이) 대표도 그런 AI 전문가 중 하나였다.
국내 대기업은 물론 해외 기업까지 연사 초청과 스카우트 제의가 들어왔다.
주변 AI 전문가들도 각 기업의 AI 조직 수장으로 자리를 옮기는 시기였다.
하지만 AI 기술을 실생활에 쓸 수 있는 획기적인 비전을 보여준 기업은 많지 않았다.
그러던 중 만난 곳이 한국에서 위성을 제조하는 쎄트렉아이(29,900원 ▲ 50 0.17%)다.
쎄트렉아이 직원들은 전 대표가 위성영상을 AI로 교정한 결과물을 보여주자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많은 기술적 논의와 토론이 이어졌다. 얼마 지나지 않은 2018년, 전 대표는 30대 중반의 나이로 쎄트렉아이 자회사인 위성영상 분석 기업 SIA를 창업했다.
쎄트렉아이가 2021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6,000원 ▲ 10,100 8.02%)에 인수되면서, SIA도 손자회사로 한화그룹의 지붕 아래에 들어갔다.
한화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16,250원 ▲ 150 0.93%), 쎄트렉아이를 중심으로
‘스페이스 허브’를 구축한 우주 분야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집단이다. 스타트업에서 대기업 스페이스
허브의 구성원이 된 SIA의 우주산업 경쟁력은 무엇일까.
조선비즈는 지난 11월 22일 대전 SIA 본사에서 전 대표를 만나 위성영상의 가치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