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가려고 과학고 조기졸업 악용 KAIST가 거부한다
의대 가려고 과학고 조기졸업 악용 KAIST가 거부한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QD-LED 성능 높일 방법 찾았다
“인천의 어느 고등학교 교무부장의 이야기다.
KAIST가 어떻게 학생을 선발하느냐가 과학고 학생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KAIST가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니까 그동안 학생들이 성적 경쟁을 했다고 하더라. 그동안 제대로 하지 못했던 건 반성한다.”
지난 9월 27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이 주최한 과학영재교육포럼에서 마이크를 잡은
김용현 KAIST 입학처장은 과학영재교육에서 제대로 된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전 국민이 사교육을 당연시하고, 과학고나 영재고마저도 사교육에 의존하는 환경이 됐다”며 “과학영재를 성적순으로 선발했던 KAIST의 책임도 있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성적 경쟁이 전부라는 인식이 퍼져 있다 보니 학생이나 학부모들이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다”며
“우리가 어떤 학생을 뽑는지 잘 보여줬어야 했다”고 했다.
그는 KAIST가 4년 동안 이 문제를 개선하려고 많이 노력했고, 앞으로 과학고와 KAIST의 이공계 연계 교육을 다시 빌드업(build up, 쌓아가며 완성)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KAIST 입학처장의 이례적인 공개 사과가 나온 건 그만큼 지금의 과학영재교육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날 포럼의 토론자로 나선 심규철 공주대 생물교육과 교수는 과학고의 조기 졸업 제도가
학생들을 과학고 설립 목적에서 어긋난 내신 성적 경쟁으로 내몬다고 지적했다.
심 교수는 “과학고 학생 상당수가 2학년을 마치고 대학에 진학했는데, 1학년 내신 성적에
좌우되는 조기 졸업 제도 운영은 과학고 설립 취지에 부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과학고 조기 졸업 비율이 일정 수준으로 정해져 있다 보니 그 안에 들어가려고 내신 경쟁에 빠져든다는 것이다.
그는 이런 환경에서 과학고 설립 취지에 부합하는 충실한 교육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최호성 경남대 교육학과 교수도 “과학영재 선발 입시는 학생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대학의 주관적,
전문적인 판단 과정”이라며 “말썽이 없는 입시에서 신빙성 있는 학생 선발 제도로 정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KAIST 역시 이런 문제 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김 처장은 “과학고의 조기 졸업과 대학 조기 진학 제도가 애초 목적과
다르게 쓰이고 있다”며 “2026학년도 입시부터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고의 조기 졸업과 대학 조기 진학 제도는 과학영재나 이공계 우수학생 양성을 위한 제도지만,
최근에는 의대 진학을 위한 통로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조기 졸업과 조기 진학 제도를 활용해 1년 일찍
대학 이공계열에 진학한 학생이 반수나 재수를 해서 의대를 가는 일이 잦아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