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장 자율주행 코스 탄생의 비결
국내 최장 자율주행 코스 탄생의 비결
북극곰이 굶는 기간 온실가스 배출로 11배 이상 길어졌다
지난 6일 오후 2시 제주국제공항 청사는 때마침 수학여행을 온 고등학생들로 몹시 붐볐다.
인파를 지나 청사를 나서자 ‘라이드플럭스’ 로고를 붙인 채 기다리는 승합차 한 대가 눈 앞에 들어왔다.
이날 기자가 타고 중문관광단지까지 이동할 자율주행차였다.
라이드플럭스는 제주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까지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를 운행하고 있다.
주행거리가 편도로만 38㎞로 국내에서 가장 긴 자율주행 코스다.
제주국제공항 진출로 근처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탓에 공항을 빠져나갈 때는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직접 운전대를 잡았다.
본격적인 자율주행은 공항을 나서자 시작됐다.
‘자율주행을 시작합니다’라는 음성 안내와 함께 사람이 운전대에서 손을 놨고 차량은 시속 30㎞의 속도로 움직였다.
공항을 빠져나온 차량들이 복잡하게 얽혔지만 자율주행차는 도로 상황에 맞춰 천천히 차선까지 바꿔가며 움직였다.
제주 시내에서도 차량이 가장 많기로 소문난 노형동까지 자율주행차도 가다 서다를 반복했다.
뒷좌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정밀하게 인식된 도로와 주위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라이드플럭스의 자율주행차는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를 함께 사용해 주변 환경을 인식했다.
함께 차량에 탑승한 라이드플럭스의 김소현 엔지니어는 “신호등을 카메라로 인식하고 나머지는 라이다를 통해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잡한 시내를 벗어나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연결하는 평화로에 진입하자 자율주행차도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시속 80㎞까지 속도를 높이며 주위의 차량들과 앞서거니 뒤서거니 안정적인 주행을 선보였다.
자율주행차가 고속 주행을 할 수 있을까 걱정한 게 무색할 만큼 오히려 고속으로 달릴 수 있는 도로에서 더 안정적이었다.
제주시로 돌아오는 길에는 돌발 상황도 있었다.
노형로타리를 앞두고 옆 차선에 있던 차량이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하면서 자율주행차가 급정거를 했다.
사람이 운전대를 잡고 있어도 깜짝 놀랄만한 상황이었지만, 자율주행차는 빠르게 속도를 줄인 뒤 끼어들기를 한 차와 거리를 유지했다.
자율주행차가 이런 돌발 상황에도 문제 없이 대처할 수 있는 비결은 ‘가상 공간’에서의 테스트에 있다.
김소현 엔지니어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돌발 상황을 겪어보고 실제로 그런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해결할지 미리 시나리오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하는 게 중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가상공간에서 1000배 많은 테스트… 위험 상황도 미리 학습
자율주행차의 핵심은 차의 두뇌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다.
소프트웨어가 도로 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미리 학습하고 그에 맞춰서 적절히 대응하는 게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이다.
지금까지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이 차의 두뇌 역할을 했다면 자율주행 시대에는 소프트웨어가 사람을 대신해 두뇌 역할을 맡아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학습’이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가 도로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변수와 돌발 상황을 미리 학습해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
라이드플럭스가 제주를 자율주행의 무대로 삼은 것도 학습의 용이성 때문이다.
김소현 엔지니어는 “제주는 시내가 복잡해서 시내주행을 경험할 수 있고 평화로처럼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는 도로도 있다”며
“한라산이 있어서 날씨도 다양하게 변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과 상황을 압축적으로 경험하기 좋은 곳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무리 제주라고 해도 학습이 불가능한 상황은 있다. 안전과 직결되는 경우다.
사람이 무단횡단을 한다거나 갓길에 있던 차량이 갑자기 도로에 끼어든다거나 하는 상황을 실제 도로에서 테스트 삼아 해볼 수는 없는 일이다.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