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로 암 치료하고 기후변화에 강한 작물 만든다
미생물로 암 치료하고 기후변화에 강한 작물 만든다
산업정책 굳건해야 한국판NASA 성공한다 허희영 항공대 총장
향후 10년 이내에 실현돼 경제·산업계는 물론 우리 삶을 바꿔 놓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오 유망 기술 목록이 발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정밀 의료 기술의 실현에 필요한 ‘차세대 롱리드시퀀싱’ 기술을 비롯한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26일 발표했다.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향후 5~10년 이내에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큰 10개의 기술을 말한다.
플랫폼바이오·레드바이오·그린바이오·화이트바이오 등 4개 분야로 나눠 선정하고 있다.
기초·기반 기술을 의미하는 플랫폼바이오에는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 ‘DNA나노모터’ ‘인간-기계 상호작용 제어 기술’이 선정됐다.
이 중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은 수십만개 이상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읽는 기술로 기존보다 더 긴 염기를 정확히 해독할 수 있다.
기존 방식으로는 어려웠던 질병 원인 유전자 탐색과 고품질 유전체 지도 제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미국에서는 모든 신생아의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를 추진해 정밀 의료 기술의 실현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레드바이오 분야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신경질환 치료 전자약’ ‘면역펩티도믹스’가 선정됐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최근 신체 대사뿐 아니라 암 발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마이크로바이옴을 표적으로 한 항암백신은 유전자 변이로 인한 암세포의 항원이 적어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난치성 암의 치료백신 개발에 활용될 전망이다.
그린바이오에서 미래유망기술로 선정한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은 유전체 분석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후 변화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더위와 가뭄에 강한 품종을 개발해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린바이오에서는 ‘AI 기반 자율재배 스마트팜’ 기술도 미래유망기술에 함께 선정됐다.
‘바코드 미생물’ 기술은 화이트바이오 분야에서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됐다.
바코드 미생물은 미생물에 특정 디옥시리보핵산(DNA) 염기 서열을 넣어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기술이다.
제품의 유통과 감염병 추적, 법의학에 활용 가능해 응용 범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데이터 기반 친환경 농약 합성기술도 함께 선정됐다.
과기정통부와 생공연은 2015년부터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굴하고 연구자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미래유망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방법도 시도된다.
2021년부터는 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해 단기간 내에 급부상하는 기술 용어를 선별하는 ‘위크 시그널’ 탐색 모델을 사용해 기술 발굴에 힘쓰고 있다.
노경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글로벌 난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새로운 유망기술 발굴과 전략적 투자 강화는 물론, 글로벌 선도국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등 첨단바이오 분야에서
Fast-follower가 아닌 First-mover형 R&D 기반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