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도 음악가 된다 침팬지의 드럼 연주로 본 음악의 진정한 기원

동물도 음악가 된다 침팬지의 드럼 연주로 본 음악의 진정한 기원

동물도 음악가 된다 침팬지의 드럼 연주로 본 음악의 진정한 기원

동물도 음악가 된다 침팬지의 드럼 연주로 본 음악의 진정한 기원

소련 시대 우주선이 지구로 떨어진다 53년 만의 추락 왜 위험한가?

침팬지가 나무 뿌리를 두드려 리듬을 만들어내는 행동이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실제로 일정한 박자를 가진 연주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인간보다 훨씬 오래된 시점에서 음악적 표현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는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를 포함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침팬지의 행동에서 인간의 음악성과 닮은 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게재되었습니다.

과거 연구에서는 침팬지가 나무의 튀어나온 뿌리나 평평한 부분을 주먹이나 발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더 흥미로운 점은, 각 침팬지는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연주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연구진은 침팬지가 타악기 같은 패턴으로 다른 동료들에게 위치와 활동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 거주하는 침팬지 11개 무리를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연구진은 각 무리에서 생성된 소리가 서로 다르며, 인간 음악과도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지 조사했습니다.

총 371건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침팬지들이 만든 소리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리듬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더 나아가, 침팬지 종에 따라 리듬 스타일에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서부 침팬지들은 일정한 박자를 유지하며 빠른 템포로 소리를 내었고, 울음소리도 곁들였습니다.

반면 동부 침팬지들은 길고 짧은 박자를 섞어 보다 변주된 리듬을 만들어냈습니다.

영국 세인트 앤드류스대의 캐서린 호바이터 교수는 “음악은 인류를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지만 그 기원이 언제 시작됐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말하며,

“침팬지가 리듬 감각이라는 인간 음악의 핵심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능력이 인간과 침팬지의 공통 조상에게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실, 침팬지가 인간과 음악 본능을 공유한다는 단서는 이전에도 발견된 바 있습니다.

2019년 일본 교토대 연구진은 침팬지도 음악에 맞춰 자발적으로 춤을 춘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수컷 세 마리와 암컷 네 마리를 대상으로 다양한 음악을 들려줬을 때, 모든 침팬지가 음악에 반응해 춤과 같은 동작을 보였습니다.

어떤 개체는 몸을 흔들었고, 어떤 이들은 벽을 두드리거나 발끝으로 박자에 맞춰 움직였습니다.

특히 수컷들은 암컷보다 더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일부는 음악에 맞춰 소리까지 냈다고 연구진은 보고했습니다.

당시 교토대 연구진은 “왜 침팬지가 음악에 반응해 춤추는지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추가 연구를 통해 이는 음악과 진화의 비밀을 풀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기대를 내비쳤습니다.

결국, 이 모든 연구는 인간과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가 우리의 음악적 본능과 긴 역사를 공유할 가능성을 한층 더 강조하고 있습니다.

음악은 어쩌면 우리만의 것이 아닌, 오래전부터 이어진 생명의 리듬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