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시대 우주선이 지구로 떨어진다 53년 만의 추락 왜 위험한가?

소련 시대 우주선이 지구로 떨어진다 53년 만의 추락 왜 위험한가?

소련 시대 우주선이 지구로 떨어진다 53년 만의 추락 왜 위험한가?

소련 시대 우주선이 지구로 떨어진다 53년 만의 추락 왜 위험한가?

코로나19 기원 논란에 새 증거 야생동물 기원 설 힘 얻어

소련 시대의 금성 탐사선 ‘코스모스 482’가 이번 주말 지구로 떨어질 예정이다.

통상적으로 우주선이나 인공위성이 대기권에 재진입하면 불타면서 대부분 소멸하지만, 코스모스 482는 좀 다를 것으로 보인다.

이 탐사선은 금성처럼 가혹한 환경을 견디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잔해가 지구 표면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코스모스 482는 9일에서 10일 사이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예정이며

정확한 시간은 추정이 어렵지만 한국 시간 기준으로 10일 오후 4시 30분쯤이 중간값으로 제시되었다.

이 예측에는 최대 20시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어 구체적인 재진입 시점 파악은 어렵다.

코스모스 482는 1972년 소련이 금성 탐사를 위해 발사한 우주선으로, 당시 임무 내용이나 세부 구조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탐사선이 금성 착륙에 성공했던 ‘베네라 8호’와 유사한 설계를 가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베네라 8호를 기준으로 보면 직경 약 1m, 무게는 약 495kg에 달한다.

그러나 코스모스 482는 발사 과정에서 기술 문제가 발생하여 지구 궤도를 벗어나지 못하고 현재까지 약 53년간 타원형 궤도를 돌다가 이제야 추락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발사 당시 코스모스 482는 네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었고, 이 중 세 개는 뉴질랜드 근처 바다에 곧바로 추락했다.

나머지 한 조각이 지금까지 궤도를 돌며 머물렀고, 결국 지구 대기로 복귀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주 잔해는 대기권에 진입하며 불타 사라지지만, 코스모스 482는 금성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구 대기권이 충분히 방어막 역할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네덜란드 위성 추적 전문가 마르코 랑브룩은 한 인터뷰에서 “코스모스 482는 금성 대기를 통과하도록

제작된 착륙선이므로 지구 대기로 재진입하더라도 파괴되지 않고 지표면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코스모스 482의 정확한 추락 지점 추정 역시 난항을 겪고 있다.

탐사선의 궤도 경사각이 약 52도에 달하기 때문에, 북위 52도부터 남위 52도 사이의 모든 지역이 추락 가능성 범위에 포함된다.

하지만 지구 표면의 약 70%가 바다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바다로 떨어질 가능성을 훨씬 더 높게 보고 있다.

콜로라도 볼더대의 마르친 필린스키 교수는 “탐사선 잔해가 사람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추락할 확률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인류가 우주 탐사를 시작한 이래로 발생하는 위성과 우주 쓰레기의 문제를 다시 한번 환기시키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위협 속에서 안전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