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두 잔 가당 음료 혈당 대사 개선하는 박테리아 죽인다

하루 두 잔 가당 음료 혈당 대사 개선하는 박테리아 죽인다

하루 두 잔 가당 음료 혈당 대사 개선하는 박테리아 죽인다

하루 두 잔 가당 음료 혈당 대사 개선하는 박테리아 죽인다

이엔셀 싱귤래리티바이오텍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 MOU 등

전 세계에서 가당 음료 섭취가 늘면서 당뇨병이나 심혈관 질환과 같은 대사질환이 늘고 있다.

글로벌 식이 데이터베이스의 연구진은 2020년 전 세계 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0%, 심혈관 질환 환자의 약 3%가 가당 음료 섭취로 발생했다고 최근 발표하기도 했다.

이처럼 당이 첨가된 음료가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그 과정에서 어떤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었다.

최근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 연구진이 장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대사산물이 가당 음료 섭취와 당뇨병 위험 증가 사이의 연결고리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1일 발표됐다.

가당 음료란 설탕이 첨가된 모든 음료를 포함하며 탄산음료, 과일음료(100% 착즙 과일 주스 제외), 설탕이 첨가된 물, 논알코올 맥주 등이 포함된다.

연구진은 가당 음료 섭취와 대사 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 내 히스패닉, 라틴계 성인들을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과 혈중 대사 산물을 분석했다.

히스패닉과 라틴계는 당뇨병 유병률이 높고, 가당 음료를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035명의 장내 미생물 시료와 혈액 시료를 분석한 결과, 당이 첨가된 음료를 하루 두 잔 이상 마시는 사람들의 장내에서 특정 박테리아 9종의 개체 수가 변하는 것이 확인됐다.

이 중 4종은 단쇄지방산을 생성하는 박테리아였다.

단쇄 지방산은 장내 미생물이 섬유질을 분해할 때 생성되며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이 첨가된 음료를 자주 섭취한 사람들의 장내에서는 유익한 박테리아의 양이 감소하고, 대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박테리아의 비율이 증가했다.

반면 고형 음식으로 당을 섭취한 사람들의 경우 이러한 박테리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치 치빈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 교수는 “고형 음식에 포함된 첨가당보다 음료에 포함된 당이

더 쉽게 흡수되며, 당과 물로만 구성되어 있어 매우 높은 열량 밀도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고형 음식에 포함된 당은 식이섬유, 단백질, 지방 등과 함께 섭취되기 때문에, 소화기관에서 분해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흡수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된다.

반면 가당 음료에 포함된 당은 거의 순수한 형태의 당과 물로만 구성되어 있어 위장에서 거의 바로 장으로 이동하고 빠르게 혈류로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가당 음료를 섭취하면 짧은 시간 내에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슐린 분비가 과도하게 증가한다.

또 연구진은 당이 첨가된 음료 섭취와 관련된 혈중 대사 산물 56종을 발견했다.

이들 중 일부는 장내 미생물이 생성하거나 장내 미생물 대사 산물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이러한 대사 산물은 높은 공복 혈당이나 인슐린 수치, 높인 체질량지수(BMI)와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수치와 관련이 있었다.

해당 대사 산물 수치가 높은 사람들은 향후 10년 내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장내 미생물과 관련된 여러 대사 산물이 당뇨병 위험과 연관이 있음을 발견했다”며

“이들 대사 산물이 향후 당뇨병 발병을 예측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특정 장내 미생물 종이 직접적으로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연구진은 “추가 연구를 통해 장내 미생물과 대사 산물이 당이 첨가된 음료와 당뇨병 사이의 연관성을 매개하는지 확인할 것”이라며

“다른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검증하는 한편, 장내 미생물이 당 섭취와 연관된 심혈관 질환 등 다른 만성 질환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