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 샴푸의 아버지 탈모 샴푸로 돌아왔다
염색 샴푸의 아버지 탈모 샴푸로 돌아왔다
빛공해가 젊은층 치매 위험 높인다 대사 정신질환에도 악영향
이해신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교수는 염색 샴푸의 아버지로 불린다.
사과 껍질을 깎고 공기 중에 두면 과육이 갈색으로 변한다.
이 교수는 이런 사과의 갈변 원리를 이용해 감기만 해도 머리카락이 갈색이 되는 염색 샴푸를 개발했다.
사과에 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산소와 만나면 갈색으로 변한다.
그는 샴푸에 폴리페놀을 넣어 머리카락 표면에서 갈변을 유도했다.
염색 샴푸는 민간 기업에 기술 이전됐고, 수백억원의 매출을 내는 인기 상품이 됐다.
하지만 이 교수는 염색 샴푸 기술을 이전 받은 기업과 갈등이 겪었고, 지금은 갈라선 상태다.
그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곧바로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단백질에 잘 붙는 폴리페놀의 특성을 살리면 다양한 헤어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있었기 때문이다.
후속 제품은 바로 탈모를 막아주는 샴푸였다.
지난 4일 대전 KAIST 연구실에서 만난 이 교수는 “처음부터 탈모 샴푸를 겨냥한 건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의 도움으로 작년 8월 폴리페놀팩토리라는 스타트업을 교원 창업하고, 올해 4월 ‘그래비티(Gravity)’라는 이름의 샴푸 제품을 출시했다.
사실 그래비티는 처음에는 모발을 두껍게 해주고 볼륨감을 높여주는 샴푸를 목적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이 교수는 “그래비티 샴푸를 사용하면 머리카락에 힘이 생기고 굵어지는 효과가 있어서 처음에는 볼륨 샴푸로 출시했다”며
“염색 샴푸를 만들 때부터 폴리페놀을 이용하면 이런 헤어 제품이 가능하다는 아이디어가 있었다”고 말했다.
시장 반응은 의외였다. 그래비티 제품이 출시되자 사용자들은 후기에서 볼륨 샴푸가 아니라 탈모 샴푸라는 별명을 붙였다.
폴리페놀팩토리의 윤현주 이사는 “사용자들이 제품평을 하는 과정에서 유독 탈모를 제어하는 효과가 크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곧바로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했는데, 샴푸를 사용한 지 2주 만에 탈모가 약 70% 감소한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탈모 샴푸의 임상시험은 보통 6주 동안 샴푸를 사용하면서 실제 빠지는 모발 수가 얼마나 줄었는지 확인한다.
6주 이후 빠진 모발 수가 70% 감소하면 효과가 있다고 보는데, 그래비티는 6주가 아니라 2주만 써도 충분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 교수는 “폴리페놀의 특성을 살린 특허성분 ‘리프트맥스 308′이 머리를 감는 과정에서 모근에 달라붙어 코팅하는 원리”라고 설명했다.
이 성분이 외부 자극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고, 모발의 구조 물질이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식으로 탈모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탈모 기능성 원료가 세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인 탈모 샴푸는 기능성 원료가 있어도
물로 씻는 과정에서 모근이나 모발에 제대로 붙어있기 힘들다”며 “그래비티는 폴리페놀 특허성분이 탈모를 막아주는 원료
물질을 모근에 흡수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더 빠르고 좋은 효과를 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2007년부터 폴리페놀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당시 그는 바닷가 바위에 붙어 있는 홍합의 접착력이 폴리페놀이
덕분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
지금까지 다른 학자의 논문에 인용된 횟수만 1만회가 넘는 세계적인 논문이다.
폴리페놀은 사과처럼 식물에도 많은 분자인데, 단백질과 잘 결합하고 세포를 손상하는 활성산소를 잡아주는 항산화 기능도 있다.
이 교수는 머리카락도 결국 단백질이기 때문에 폴리페놀의 특성을 여러 헤어 제품에 이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이후 폴리페놀의 특성을 살려 염색 샴푸를 만든 데 이어 볼륨감을 높이는 샴푸 개발에 뛰어들었는데 결과적으로 시장에서 탈모 방지 샴푸로 성공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