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리티 리포트 현실로 AI가 CCTV로 범죄 위험 예측한다
마이너리티 리포트 현실로 AI가 CCTV로 범죄 위험 예측한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2002년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는 2054년을 배경으로 최첨단 치안 시스템인 ‘프리크라임’이 등장한다.
프리크라임은 범죄가 일어날 시간과 장소, 범행을 저지를 사람까지 미리 예측한다.
국내 연구진이 이와 비슷하게 감시 카메라(CCTV)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범죄의 징후를 파악하고 사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은 CCTV 영상, 범죄 통계정보 등을 분석해 범죄 징후를 감지하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자뷰(Dejaview)’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데자뷰는 대다수의 범죄가 과거 범죄와 유사하게 반복되는 경향에 착안했다.
과거 범죄의 유형, 방법, 장소, 시간 등 상황과 현재 상황을 AI로 비교·분석해 범죄 위험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데자뷰는 시·공간 중심으로 범죄를 예측한다.
과거 범죄 등의 통계정보를 학습한 AI가 실시간 CCTV 영상을 자동 분석해 범죄 상황과 유사도를 비교·측정하고
미행이나 쓰러짐, 극초기 화재 등 범죄나 재난 의심 상황을 즉각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한 남성이 늦은 시각 여성을 미행하다가 집까지 따라 들어가려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김건우 ETRI 인공지능융합보안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일반적인 CCTV로 보면 남자와 여자가 각자 갈 길을 가는 영상이고
아무런 이상 상황이 아니다”라며 “데자뷰 기술은 해당 지역, 해당 시간에 성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여러 CCTV 상에서 남자가 여자를 따라간다는 것이 포착되면 범죄 위험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ETRI는 서울 서초구와 함께 지난 2018년부터 3년간 지역 내 3만2656건의 CCTV 사건·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범죄예측지도(PCM)를 개발했다.
범죄의 발생일시, 장소, 강력범죄, 교통사고, 화재 등 사건유형별로 정형화해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보여주고, 실시간 범죄 위험도를 화면에 보여준다.
범죄예측지도의 범죄예측 성능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성능시험 기준 82.8%로 나타났다.
개인 중심의 재범 예측 기술도 개발됐다.
재범 우려가 큰 고위험군 전자감독 대상자에 한해, 이들의 이동 패턴에 따른 위험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전자감독대상자가 생업 등 사유로 인해 주기적으로 이동제한 규정을 위반하면 AI 기술을 통해 이를 분석, 재범 위험도를 파악해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ETRI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범죄징후 감지 및 예측 원천기술을 안전서비스에 특화된 시스템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상용화 시점은 내년 말이다. 김건우 책임연구원은 “CCTV가 단순히 범죄 발생을 감지하는 수준을 넘어 스스로 위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
예방하는 영상보안기술을 개발했다”며 “미래형 첨단 사회안전시스템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