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밤에 달 토성 최대 근접 50년 만의 천문 현상

8일 밤에 달 토성 최대 근접 50년 만의 천문 현상

8일 밤에 달 토성 최대 근접 50년 만의 천문 현상

8일 밤에 달 토성 최대 근접 50년 만의 천문 현상

뇌세포 팔은 진주목걸이 모양 원통이란 100년 통념 뒤집어

이번 주말 남쪽 하늘에서 달과 토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달과 토성이 맨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가까워지는 건 1974년 2월 4일 이후 50년 만이다.

5일 국립과천과학관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8일 오후 5시 49분 남쪽 하늘에서 달과 토성이 0.3도로 근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맨눈으로 보면 달과 토성이 거의 붙어 있고, 망원경으로 관측할 경우 하나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이번 근접 현상은 월몰 직전인 9일 오전 0시 14분까지 관측할 수 있다.

달과 토성이 이렇게 가까워지는 건 드문 현상이다.

이번 근접에서 달과 토성의 거리는 0.3도인데, 보름달의 시직경(지구에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이 0.5도인 것을 감안하면

달과 토성이 보름달의 겉보기 지름보다도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다.

1974년 2월 4일이 과거 달과 토성의 근접이었고, 다음 달과 토성의 근접은 2075년 8월 20일에나 볼 수 있다.

달과 토성이 가깝게 보인다고 하여 두 천체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은 아니다.

지구에 대한 달의 공전주기는 29.5일, 태양에 대한 토성의 공전주기는 29.5년이다.

그만큼 두 천체가 근접하는 건 드문 일이다.

또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달과 토성의 거리가 다르게 보이는데, 위도가 낮을수록 가깝게 보이다가 일본 오키나와에서는 달이 토성을 가려 안보이게 된다.

달·토성 근접은 남쪽 하늘 40도 이상에서 발생하므로 높은 산이나 빌딩이 없다면 맨눈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쌍안경이나 시야가 넓은 망원경으로는 한 시야에 달과 토성이 동시에 들어온다.

배율이 큰 망원경으로 토성을 보면 토성의 고리와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도 볼 수 있다.

8일 밤에는 올해 가장 밝게 빛나는 목성도 볼 수 있다.

이날 목성은 태양-지구-행성의 순서로 위치한 때 ‘충(衝)’의 위치에 있게 된다.

충일 때 행성은 지구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밝게 빛난다.

국립과천과학관은 달과 토성 근접을 맞아 특별관측회를 8일 진행한다.

8일 오후 7시 시작되는 특별관측회는 슈퍼문 특강, 스노우볼 만들기 체험, 크리스마스 카드 꾸미기, 관측 프로그램 등으로 진행된다.

한형주 국립과천과학관 관장은 “일생에 한두 번밖에 볼 수 없는 달·토성 근접 천문현상을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과천과학관에서 보면서 추억을 남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Read more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네안데르탈인이 약 12만5000년 전에 동물의 뼈에서 지방을 추출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전까지 동물 뼈를 가공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약 2만8000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사례로 알려졌으나 이번

By 관리자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태양계 바깥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가 발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여러 연구 기관의 분석 결과, 이 천체는 지구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천체는 지난 1일(현지

By 관리자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방사능 오염 청정 기술 환경 재난 대응 획기적 전환 유방암 치료제로 주목받는 '엔허투'는 지난해 5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블록버스터 의약품(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 잡았다. 일본의 다이이치산쿄와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