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양자기술 도약 김기환 칭화대 교수 국내 협력 추진

한국 양자기술 도약 김기환 칭화대 교수 국내 협력 추진
한국 양자기술 도약 김기환 칭화대 교수 국내 협력 추진
살아있는 항암제 탄생 암 환자 몸속에서 치료제를 만든다
2011년부터 중국에서 양자컴퓨터 분야 연구를 이끌어온 세계적 권위자 김기환 칭화대 교수가 한국으로 연구 거점을 옮긴다.
김 교수는 오는 10월 기초과학연구원(IBS)에 합류해 새로 신설될 계획인 ‘이온트랩 기반 양자정보과학연구단’의 초대 단장을 맡을 예정이다.
김 교수는 조선비즈와의 인터뷰에서, 지금껏 이어온 연구를 확장해 양자컴퓨터 구현을 위한 기반을 한국에서 구축하고 싶다는 바람을 밝혔다.
그는 특히 이온 트랩을 활용한 양자정보과학 연구에 대해 가장 오래 집중해 온 핵심 분야라며, 앞으로도 이 길을 일관되게 걸어가고 싶다고 덧붙였다.
기존 컴퓨터가 전자의 유무를 0과 1로 표현하는 반면, 양자컴퓨터의 단위는 0과 1 상태가 중첩된 큐비트(qubit)를 사용한다.
이는 양자역학 특성에 의해 물질이 하나의 상태가 아닌 여러 중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계산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김 교수가 주력하는 이온 트랩 기술은 양전하를 가진 이온을 진공 상태에서 유지하며 레이저를 가해 양자 정보가 중첩된 상태를 만드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초전도, 중성원자, 광자, 반도체 양자점과 함께 양자컴퓨터 구현을 위한 유망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김 교수는 한국으로 이주를 결심한 이유에 대해, 최근 양자기술이 전략적 중요성을 띠면서 주변으로부터 한국에 기여할 기회를 고려해보라는 권유를 자주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IBS의 단장직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임을 확인한 것이 큰 매력으로 작용했다고 강조했다.
올 가을 IBS에 합류하기로 계획한 김 교수는 현재 칭화대와 관련 사항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IBS 측에서 초기 2년 동안 다른 기관과의 겸직을 허용해준 덕분에 중국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무리 없이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또한 한국에서는 연구 장비 세팅에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그 기간 동안 칭화대에서 맡고 있는 연구를 정리하며 병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칼퇴 직후 김 교수는 본격적으로 연구단을 구성하기 위해 연구 인력 모집에 나설 예정이다.
그는 연구단이 대전 IBS 본원에 자리 잡을 예정이지만
현재 제도적으로 대학원생을 직접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이 부족해 당분간은 경력직 연구자를 중심으로 연구를 시작해야 할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IBS 또한 이를 인지하고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IBS는 기존 양자 연구단에 김 교수가 이끄는 양자정보과학연구단을 더해 양자정보연구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양자 전문 연구소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려면 국내외 우수한 연구자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반도체 집적회로 분야의 권위자인 이우근 칭화대 교수 또한 올해 하반기에 한국 대학으로 자리를 옮길 예정이다.
앞서 2019년에는 삼성전자 출신 정홍식 교수가 칭화대를 떠나 울산과학기술원(UNIST)으로 이직한 사례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