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4초씩 1만번 자는 턱끈펭귄 잠도 자고 천적도 경계

하루 4초씩 1만번 자는 턱끈펭귄 잠도 자고 천적도 경계

하루 4초씩 1만번 자는 턱끈펭귄 잠도 자고 천적도 경계

하루 4초씩 1만번 자는 턱끈펭귄 잠도 자고 천적도 경계

달에 묻힌 티탄철석을 찾아라 한 유럽 우주자원 동맹 스타트 끊었다

일상에서 깜빡 조는 것처럼 수 초간 짧게 지속되는 순간적인 수면을 ‘마이크로수면(microsleep)’이라 한다.

사람에겐 수면 중 회복 기능을 활성화하기에는 너무 짧지만, 남극에 사는 턱끈펭귄에게는 단 몇 초의 시간이면 충분했다.

턱끈펭귄이 잠을 자면서도 주변을 경계하기 위해 마이크로수면 전략을 사용한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로 밝혀졌다.

매번 4초씩 하루 1만초를 자는 것이다. 하루는 8만6400초다.

이원영 극지연구소 연구원과 폴 앙투안 리부렐 프랑스 리옹 신경과학연구센터(CNRS) 연구원 연구진은 1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남극에 서식하는 턱끈펭귄의 수면 패턴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턱끈펭귄(Pygoscelis antarcticus)은 턱에 검은색 얇은 끈 형태 무늬를 가지고 있어 ‘턱끈’ 펭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턱끈펭귄은 하루에 11시간 이상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세한 수면 간격에 대해서는 확인된 바 없었다.

연구진은 남극 대륙에 둥지를 튼 턱끈 펭귄 집단의 일부 개체에 원격 뇌파 검사(EEG)를 하고, 직접 행동을 관찰해 수면 패턴을 연구했다.

이원영 연구원은 조선비즈와의 인터뷰에서 “2주 정도 펭귄에게 뇌파 측정 장치를 장착해 뇌에서 나오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해 잠의 패턴과 시간 등을 측정했다”며 “둥지 근처에서는 잠에 빠져 고개를 떨구거나 눈을 감는 행동을 관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펭귄이 번식기가 되면 24시간 동안 활발하게 움직여서,

이때는 연구자들이 하루에 3시간도 채 자지 못하면서 연구를 계속해야 했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 턱끈펭귄들은 하루에 약 4초의 쪽잠을 1만 회 이상 반복하면서 잠을 잤다.

수면 시간을 모두 합치면 11시간 7분 정도로 일일 수면 필요량인 11시간을 넘겼다.

턱끈펭귄은 수면 중에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만큼 포식자나 다른 펭귄의 위협을 피하기 위해 ‘쪽잠’을 자는 방식으로 적응한 것이다.

사람의 경우, 수면이 부족하면 활동 중에도 졸음이나 각성 중단과 같은 수면 관련 뇌 활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수면으로도 수면 시간과 질을 모두 채울 수 있을지 의견이 분분하다.

연구진은 “턱끈 펭귄의 경우 특이한 마이크로수면 패턴으로도 수면 기능을 충족하고 주변 경계도 할 수 있어 이점이 크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크리스티안 하딩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박사후 연구원과 블라디슬라프 뱌조브스키

영국 옥스퍼드대 수면 및 생체주기 신경과학 연구소 교수는 “턱끈펭귄의 수면 패턴은 수면의 이점을 높일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사례 중 하나일 수 있다”며 “수면 기간은 다양한 변수에 민감해 종마다 크게 다르지만,

턱끈 펭귄의 몇 초 길이의 미세 수면은 눈에 띄게 짧다”고 전했다.

이원영 연구원은 “물범의 경우 수면 중에 잠꼬대하듯 뿅뿅 소리를 내거나 ‘으악’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며

“지금까지 야생동물의 수면을 측정하는 연구는 드문데, 앞으로도 극지에 있는 다른 동물들의 수면 진화 과정을 연구하고 싶다”고 밝혔다.

Read more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네안데르탈인이 약 12만5000년 전에 동물의 뼈에서 지방을 추출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전까지 동물 뼈를 가공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약 2만8000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사례로 알려졌으나 이번

By 관리자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태양계 바깥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가 발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여러 연구 기관의 분석 결과, 이 천체는 지구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천체는 지난 1일(현지

By 관리자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방사능 오염 청정 기술 환경 재난 대응 획기적 전환 유방암 치료제로 주목받는 '엔허투'는 지난해 5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블록버스터 의약품(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 잡았다. 일본의 다이이치산쿄와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