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의 낙타 , 가혹한 사막 생활을 견딜 수 있는 이유는?

사막의 낙타 , 가혹한 사막 생활을 견딜 수 있는 이유는?

사막의 낙타 ;낙타의 가장 큰 특징은 등에 있는 커다란 혹이다. 낙타는 사막에서 짧게는 4~5일, 길게는 20일 정도 물 없이 살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낙타 등에 물과 짐을 싣고 먼 거리의 이동이 가능했고, 이를 기반으로 동서양을 연결하는 최초의 실크로드도 생겨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옛날 사람들은 낙타가 혹 안에 저장된 물을 이용해 수분을 섭취한다고 여겼다.

[ 영장류 연구 ,로 드러난 ‘남녀간 우정’의 장점은? ]

그러나 낙타의 혹 안에는 물이 아닌 지방이 저장되어 있고, 그 지방으로는 당연히 수분은 섭취할 수 없다.

그렇다면 낙타는 어떻게 그렇게 오랜 시간 동안 물 없이 뜨거운 사막에서 견딜 수 있는 걸까?

과학 뉴스미디어 라이브 사이언스(Live Science)가 가혹한 사막에 적응한 낙타의 생태에 관해 설명했다.

미국 샌디에고 동물원의 동물관리책임자인 릭 슈워츠에 따르면 낙타는 한 번에 30갤런(약 114리터)의 물을 마셔 체내에 저장할 수 있다.

낙타의 배설물은 다른 동물에 비해 매우 건조하며, 신장은 체내 수분에서

독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소변으로 배출하는 수분도 소량으로 끝난다.

또 낙타는 호흡할 때 상대적으로 낙타의 몸보다 차갑고 건조한 공기는 들이마실 때

코를 건조하고 내쉴 때는 콧속보다 뜨거운 숨이 나가면서 상대 습도가 생긴다.

이때 상대 습도로 인해 날 숨 속에 있는 수분은 코에 맺히고 다시 그 수분은 낙타의 몸속으로 흡수된다.

이처럼 철저하게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몸을 가지고 있기에 낙타는 매우 장기간 건조한 날씨에 견딜 수 있다.

이러한 낙타의 혹에 물 대신에 저장된 것은 바로 ‘지방’이다. 낙타는 혹 속 지방에 많은 양의 칼로리를 축적한다.

지방으로 가득 찬 혹을 가진 낙타라면 음식 없이 4~5개월 생존할 수 있다.

사막의 낙타

반대로 낙타가 혹 속의 지방을 많이 쓰면 피부가 처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혹은 낙타의 큰 특징 가운데 하나지만, 갓 태어난 낙타에는 혹이 없다.

생후 4~6개월 사이 낙타는 모유를 먹고 성장하고 그동안의 영양은 몸을 키우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생후 10개월~1년이 되면 드디어 혹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슈워츠는 "야생 낙타는 사막의 계절 주기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첫 1년 이내에 혹을 만들어 건기에서 반드시 살아남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낙타 이외에도 많은 동물이 몸에 지방을 축적하지만, 인간을 비롯한 많은 동물은 복부와 옆구리 등 위(胃) 주위에 지방이 붙는다.

낙타가 복부가 아닌 등의 생긴 혹에 지방을 축적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며,

"모래 위에 엎드리기 위해 복부가 강화돼, 배에 지방을 축적할 수 없는 것" 혹은

"위에서 내리쬐는 태양을 피하기 위해 옆이 아닌 수직으로 성장했다"는 설도 있다.

한편, 낙타는 크게 중국 서부 및 중앙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쌍봉낙타(Camelus bactrianus)와

아프리카와 서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단봉낙타(Camelus dromedarius)로 이루어져 있고 이 중 90% 이상이 단봉낙타로 알려져 있다.

혹이 하나보다 두 개라면 축적 가능한 지방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슈워츠는

"혹이 두 개라고 해서 쌍봉낙타가 단봉낙타보다 오랫동안 단식에 견딜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유흥주점 사이트

Read more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네안데르탈인이 약 12만5000년 전에 동물의 뼈에서 지방을 추출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전까지 동물 뼈를 가공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약 2만8000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사례로 알려졌으나 이번

By 관리자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태양계 바깥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가 발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여러 연구 기관의 분석 결과, 이 천체는 지구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천체는 지난 1일(현지

By 관리자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방사능 오염 청정 기술 환경 재난 대응 획기적 전환 유방암 치료제로 주목받는 '엔허투'는 지난해 5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블록버스터 의약품(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 잡았다. 일본의 다이이치산쿄와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