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냐 결론 황화구리 불순물이 범인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냐 결론 황화구리 불순물이 범인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냐 결론 황화구리 불순물이 범인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냐 결론 황화구리 불순물이 범인

최고 인기 직업 될 만하네 11억 챙긴 연봉킹, 행장 아니라 뜻밖에도

국제 학술지 네이처가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LK-99를 만든 한국인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상온·상압은 커녕 초전도체 자체가 아니라는 결론이다.

네이처는 16일(현지시각)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다(LK-99 isn’t a superconductor)’라는 제목의 기사를 온라인에 게재했다.

앞서 네이처는 LK-99의 초전도성을 확인할 수 없다는 해외 여러 연구진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회의적인 반응을 전한 바 있는데,

이번에는 아예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지난 7월 22일 국내 연구진이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LK-99가 상온·상압 초전도체라는 논문을

발표한 이후 전 세계 과학계가 한 달 가까이 검증 소동에 휩싸였다.

물리학자들이 제대로 된 검증 결과를 공개하기도 전에 온라인과 소셜미디어(SNS)에 확인되지 않은 재현 영상이 올라가며 소동을 더 키웠다.

하지만 한 달 가까이 시간이 지나고 검증에 나섰던 여러 연구진이 속속 결과를 발표하면서 LK-99도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쪽으로 결론이 나고 있다.

네이처는 국제 연구진이 퀀텀에너지연구소로부터 LK-99 샘플을 직접 받아서 검증을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는 걸 전제하고,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여러 국가의 연구진이 검증한 결과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라 절연체라고 밝혔다.

LK-99가 초전도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린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다.

우선 퀀텀에너지연구소가 공개한 영상에서 LK-99라고 주장하는 은빛 물질이 자석 위에서 흔들리는 모습으로 공중에 부양해 있는 듯한 장면이었다.

퀀텀에너지연구소는 이 영상을 공개하며 초전도의 특징인 마이스너 효과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제 연구진이 합성한 LK-99에서는 어디서도 이런 마이스너 효과가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하버드대학교 응집물리연구소에서 일했던 데릭 반 제넵이라는 사람이 강자성 물질로 LK-99와 같은 모습을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그는 흑연 부스러기를 압축한 펠릿에 철제 파일링을 붙이는 식으로 강자성 물질을 만들었고, 실제로 이 물질은 LK-99처럼 움직였다.

LK-99가 초전도체로 주목받은 두 번째 이유는 저항의 급격한 감소다.

국제 연구진은 LK-99가 특정 온도에서 저항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이유도 밝혀냈다.

역시 초전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의 화학자인 프라샨트 자인은 LK-99의 저항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온도에 주목했다.

섭씨 104도에서 LK-99의 저항이 뚝 떨어지는데 이는 황화구리가 상전이되는 온도와 일치했다.

퀀텀에너지연구소의 제조법대로 LK-99를 만들면 수많은 불순물이 생기는데 이때 대표적인 게 황화구리다.

프라샨트 자인은 네이처에 “연구진이 이 사실을 놓쳤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라고 말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도 순수한 단결정 LK-99를 합성한 결과 수백만 옴의 저항을 가지는 절연체일 뿐이라고 단언했다.

막스플랑크의 물리학자인 파스칼 푸팔은 “LK-99에서 발견된 초전도의 흔적은 결정에 없던 황화구리 불순물에서 기이한 것”이라며

“단결정이 있으면 시스템의 본질적인 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퀀텀에너지연구소는 네이처에 논평을 거부했다. 조선비즈의 취재 요청에도 답이 없는 상태다.

다만 네이처의 결론과는 상관없이 국내 연구진이 진행하고 있는 검증은 현재 진행형이다.

국내 물리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검증위는 최근 LK-99 합성에 필요한 물질을 확보해 본격적인 샘플 제작에 나선 상태다.

이달 말에는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Read more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네안데르탈인이 약 12만5000년 전에 동물의 뼈에서 지방을 추출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전까지 동물 뼈를 가공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약 2만8000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사례로 알려졌으나 이번

By 관리자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태양계 외부 천체 아틀라스지구와 안전 거리 유지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태양계 바깥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가 발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여러 연구 기관의 분석 결과, 이 천체는 지구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천체는 지난 1일(현지

By 관리자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4시간 vs 5분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다 방사능 오염 청정 기술 환경 재난 대응 획기적 전환 유방암 치료제로 주목받는 '엔허투'는 지난해 5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블록버스터 의약품(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 잡았다. 일본의 다이이치산쿄와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