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도 계획적 자원 관리 뼈 가공 지방 저장
네안데르탈인이 약 12만5000년 전에 동물의 뼈에서 지방을 추출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전까지 동물 뼈를 가공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약 2만8000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사례로 알려졌으나
이번 발견은 네안데르탈인이 훨씬 이른 시기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네덜란드 라이덴대학의 빌 뢰브룩스 교수 연구팀은 독일 중부의 네우마크-노르드 유적지에서
대규모 동물 뼈 가공 흔적을 발견했다고 3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를 통해 발표했다.
이는 네안데르탈인의 생활 방식을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이 유적지는 이미 1980년대에 발견되었으며,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된 조사에서 대형 동물 172마리의 뼛조각 10만 개 이상이 발굴되었다.
매머드, 코끼리, 소 등 멸종된 동물의 뼈는 잘게 부서져 있었고, 화재 흔적과 함께 뼈를 끓여 지방을 추출한 증거를 보여주는 흔적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를 기반으로 네안데르탈인이 단순히 골수를 섭취하는 수준을 넘어 체계적으로 지방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했음을 확인했다.
뼈를 물에 끓이면 뼈 내부의 해면골에서 지방이 늘어나게 되며
이를 통해 열량이 높은 기름을 얻을 수 있다. 이번 유적지에서 네안데르탈인의 직접적인 유골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현 시점에 이 같은 활동을 수행할 수 있었던 인간은 네안데르탈인 외에 없다는 점에서 이를 그들의 작업으로 판단하고 있다.
네안데르탈인은 약 40만 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로 이동해 약 4만 년 전 멸종하기까지 호모 사피엔스와 공존했던 인류의 초기 친족이다.
흥미로운 점은 네우마크-노르드 유적지에서 골수가 풍부한 뼈들이 체계적으로 모아져 가공되었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들이 의도적으로 작업을 위한 장소를 설정하고, 효율적으로 고열량 음식물을 만들어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히 하루하루 생존을 위한 수렵 생활 이상의 계획적 행동을 보여주는 사례다.
또한 연구자는 네안데르탈인이 사용한 지방 추출 도구가 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도기가 아닌
가죽이나 자작나무 껍질 등의 자연 재료일 가능성을 언급하며 최근 실험에서 이 재료들로도 물을 끓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연구는 동물 뼈에서 추출한 지방이 단순히 열량 공급 역할뿐 아니라 단백질 과다 섭취로 인한 영양 불균형 상태를 예방하는 데도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육류 섭취에 주로 의존했던 네안데르탈인은 단백질 중독이라는 위험에 직면할 수 있었으며
지방 섭취는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프랑스 연구진은 스페인의
한 동굴에서 나온 15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 어금니를 분석하여 네안데르탈인이 육식 위주의 식단을 유지했음을 밝혀낸 바 있다.
이번 연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생활 방식과 생존 전략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의 폭을 넓히며
그들이 단순한 생존자가 아닌 보다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삶을 영위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