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공급망 新동맹 떠오른 몽골 베트남 인니
희토류 공급망 新동맹 떠오른 몽골 베트남 인니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와 이차전지에 활용되는 희토류와 리튬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한다.
개발한 핵심광물 제련 기술을 필요로 하는 국가와 협력해 이차전지 원료와 희토류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방안이다.
광물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기 위해 저탄소 공정과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도 개발에 나선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1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한국과학기자협회 주최로 열린 과학미디어아카데미에서 이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지질연은 ‘자원전쟁시대, 핵심광물 생산국을 향한 도전’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핵심광물
확보를 위해 진행 중인 국제 협력과 핵심광물 관련 기술 연구개발(R&D) 진행 상황을 발표했다.
최근 리튬과 니켈, 코발트, 망간 등 핵심광물에 대한 ‘자원민족주의’가 강해지고 있다.
전 세계 리튬의 58%가 매장된 칠레와 멕시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는 자원을 국유화했다.
특히 아르헨티나와 멕시코는 중국의 채굴권을 취소하는 강수를 두기도 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도 니켈과 희토류 수출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도 핵심광물 확보에 나섰다. 미국은 핵심광물이 매장된 광산을 찾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해 신규광산을 탐사했다.
그 결과 네바다주 화산분화구와 캘리포니아주 솔턴 호수에서 대량의 리튬을 새로 찾아냈다.
유럽도 스웨덴과 독일, 프랑스, 포르투갈에서 리튬·희토류 광산을 찾고 생산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 유럽은 핵심광물원자재법을 통해 핵심광물을 통제하고 있다.
한국의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핵심광물의 중요성에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지나치게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것이다.
한국의 희토류 중국 의존도는 90%에 달한다.
LG화학(459,500원 ▼ 5,000 -1.08%)과 포스코퓨처엠(322,500원 ▲ 2,000 0.62%), 에코프로(649,000원 ▲ 29,000 4.68%) 등
국내 기업이 중국에 진출했지만, 대부분 중국 기업과 합작으로 법인을 설립해 한국이 ‘중국의 기술 속국’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중국에도 약점은 있다. 중국이 장악한 핵심광물 공급망은 제련을 거친 원료이지 광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중국의 핵심광물 공급망을 분석해보면 리튬 광물은 13% 정도고, 원료인 리튬 화합물은 44%다.
코발트 광물은 1% 정도만 생산하지만, 코발트 제련 산물은 75% 생산하고 있다.
중국은 다른 나라에서 원료를 최대한 확보한 뒤 제련기술을 기반으로 원료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셈이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광물 분야에 집중해 중국의 공급망을 공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눈을 돌린 건 몽골, 인도네시아, 베트남, 카자흐스탄 같은 자원은 있지만, 기술은 부족한 국가들이다.
지질연이 수십 년간 연구하고 개발해온 선광·제련 기술이 비장의 카드다.
선광은 물리적 방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해 광물을 제련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제련은 화학적 방법으로 광석에서 금속을 필요한 순도로 추출하는 공정이다.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의 국가는 중국에 광물을 제공하지만, 윤석열 대통령 순방 당시 중국에 대한 불만을 털어놨다고 한다.
중국이 광물만 가져갈 뿐 기술을 전수해주지 않는다는 이야기였다.
지질연은 리튬·희토류에 대한 탈중국을 위해 이들 국가와 협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