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에 만든 인체 장기 한국 잠재력이 유럽보다 10배

칩에 만든 인체 장기 한국 잠재력이 유럽보다 10배

칩에 만든 인체 장기 한국 잠재력이 유럽보다 10배

칩에 만든 인체 장기 한국 잠재력이 유럽보다 10배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QD-LED 성능 높일 방법 찾았다

“인체 장기를 칩 형태로 구현한 ‘장기 칩(organ on a chip)’은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물 모델에서는 직접 확인하기 힘든 약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볼 수 있는 플랫폼(기반 기술)입니다.”

지난 24일 충북 오송 3D생체조직칩 실증·상용화 지원센터(OK-MPS)에서 만난 우베 막스(Uwe Marx) 독일 티스유즈(Thesyzu)

대표 겸 독일 베를린 공대 명예교수는 “장기 칩은 인간의 질병을 인간 기반으로 연구해 제약이나 화장품

산업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막스 대표는 전 세계 장기 칩 개발의 최전선에 있는 연구자다.

장기 칩은 플라스틱 기판에 체액이나 혈액이 오가는 미세 회로를 만들고 그 안에 장기 세포를 넣은 것이다.

칩에서 장기의 구조나 특징을 모방하는 기술이다. 3D 생체 조직 칩 또는 미세생리시스템(Microphysiological System, MPS)이라고도 한다.

약물 개발 단계에서 후보 물질의 유효성이나 독성을 판별하거나, 환자에게 유효한 치료법을 찾는 데 쓰인다.

막스 대표는 인체 다중 장기 칩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자다.

의사과학자로서 간, 뇌, 피부, 장, 췌도와 같은 소형 인간 장기 15개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중 장기 칩 기술을 개발했다.

2010년에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의 다중 장기 칩 회사 티스유즈를 설립했다.

현재 티스유즈는 유럽의약품청(EMA), 유럽 주요 제약 회사 6곳과 협력해 장기 칩의 재현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있다.

장기 칩을 개발한 곳과 규제 기관 외에 제삼자의 검증을 받는 것이다.

막스 대표는 “오는 2026년까지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아 상용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

이번에 한국을 찾은 것도 이 때문이다.

국내 연구 기관인 오송 3D생체조직칩 실증·상용화 지원센터(OK-MPS Validation Center)와 협력해 장기 칩 기술의 국제적인 검증 기준을 확립하려는 것이다.

티스유즈는 앞서 미 식품의약국(FDA), 중국 식품약품검정연구원(NIFDC)과 협력해 기술의 검증 단계를 강화해 왔다.

막스 대표는 “기술을 실험실뿐 아니라 환자에게 바로 쓸 수 있을 정도로 높이려면 검증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며

“미국, 중국에 이어 한국의 기관과도 함께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막스 대표는 전 세계 국가 중 특히 한국을 협력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로

“한국은 최신 기술을 신속히 수용하는 나라 중 한 곳”이라며 “검증 연구를 진행해 장기 칩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면서,

기술을 환자 치료에 직접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이상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유럽의 평균적인 인프라에 비해서 약 10배 높은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라며

“한국은 노벨상 수준의 혁신 연구를 진행해 신속하게 제품화할 수 있고,

환자 맞춤형 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갖춰있기 때문에 장기 칩 분야가 빠르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인체 장기를 모사하는 연구는 장기 칩이 아닌 대부분 ‘오가노이드’에 집중되어 있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해 만든 장기 유사체다. 미니 장기라고도 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