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난화의 대기 흐름 변화 폭염 가뭄을 악화시킨다
온난화의 대기 흐름 변화 폭염 가뭄을 악화시킨다
지구온난화가 동유럽에서 동아시아에 걸친 유라시아 전역에 걸쳐 폭염과 가뭄을 한꺼번에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전 세계 기후 위기의 심각성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세종대학교 정지훈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인간 활동에 의해 초래된 지구온난화가 새로운 대기 순환 패턴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라시아 대륙에서 폭염과 가뭄이 동시에 더욱 빈발하고 그 강도가 심화되고 있음을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1980년대부터 유라시아 지역에서는 여름철 폭염과 가뭄이 점차 잦아지고 그 정도도 극심해졌습니다.
특히, 과거에는 폭염과 가뭄이 지역적으로 나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 20년 동안 두 현상이 같은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연구진은 대기의 광범위한 흐름 변화에서 실마리를 발견했습니다.
그 중심에는 ‘지구규모 원격상관(global teleconnection)’이라 불리는 대기 상호작용이 있었습니다.
이는 한 지역의 기후 변화가 지구 반대편에 있는 또 다른 지역의 기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이번 연구는 특별히 유라시아 대륙의 폭염과 가뭄에 주요 역할을 하는 ‘유라시아 횡단 폭염-가뭄 파동 열차(TEHD)’라는 대기 패턴을 밝혀냈습니다.
TEHD는 유럽에서 시작해 러시아,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아시아에 이르는 고기압 띠를 형성하는 대기 변화입니다.
특히 이 대기 패턴은 북대서양 해수면 온도의 상승과 아프리카 사헬 지역 강수량 증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온난화로 인해 북대서양의 수온이 상승하면 강한 공기 흐름이 형성되고
사헬 지역에서는 강우 증가로 대기가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며 파동 활동을 심화시키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고기압은 뜨거운 공기를 가두고 지표면 아래의 수분을 말려 폭염과 가뭄을 동시에 악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연구진은 300년간 유라시아 전역 33개 지역에서 채집된 나무 나이테 자료를 분석해, TEHD 패턴이 최근 수십 년간 과거 300년 중 가장 강력해졌음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2010년 러시아 대폭염과 2022년 동아시아 가뭄은 TEHD 영향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로 조사됐습니다.
기후 모델 분석 결과, 현재의 탄소 배출 추세가 계속될 경우 TEHD 패턴은 더욱 강력해지고, 폭염과 가뭄의 빈도 및 강도 역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후 현상에 그치는 문제가 아닙니다.
유라시아는 세계 주요 곡창지대로 자리 잡고 있어 극단적인 폭염과 가뭄은 글로벌 식량 공급망뿐 아니라 생태계와 물 자원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더불어 농업 생산 감소, 산불 위험 증가, 식량 안보 위협 등 인간 사회 또한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구진은 현재와 같은 기후 변화의 속도라면 앞으로 더 심각한 생태적·경제적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경고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지구온난화와 그로 인한 극심한 기상 변화는 단순히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당장 행동해야 할 현실적인 문제로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기후 위기의 시대, 우리는 이제 단순한 경고를 넘어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