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 초전도체는 과학의 성배 실패 잇따라도 연구 계속

상온 초전도체는

상온 초전도체는 과학의 성배 실패 잇따라도 연구 계속

상온 초전도체는 과학의 성배 실패 잇따라도 연구 계속

내가 울면 개는 위로하고 돼지는 무시 목소리서 감정 포착 달라

작년 여름 한국이 상온·상압 초전도체(超傳導體)를 내세운 LK-99 진위를 두고 시끄러울 때 미국 과학기술계에서는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고 주장한 랑가 디아스 로체스터대 교수의 몰락이 화제였다.

거의 같은 시기에 한국과 미국에서 초전도체 실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과학계는 연구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앞으로도 같은 일이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계한다.

그럼에도 상온 초전도체가 실현되면 엄청난 기술 혁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세계 곳곳에서

‘과학의 성배’를 찾는 연구자들이 계속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과연 언제쯤 진짜 상온 초전도체가 등장할까.

미 연구자, 네이처 논문 두 차례나 철회

디아스 교수는 2020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섭씨 15도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 CSH(탄소·황·수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초전도 현상은 전류가 아무런 저항 없이 흐르는 걸 말한다.

당시만 해도 ‘초전도 현상은 영하 270도의 극저온에서만 구현할 수 있다’는 개념을 뒤바꾼 발견이었다.

하지만 곧바로 여러 의혹이 나오기 시작했다. 논문 투고 직전까지 디아스 교수 연구실의 대학원생들은 모두 CSH가 초전도체라는 특성을 확인하지 못한 사실이 알려졌다.

디아스 교수는 로체스터대에 부임하기 전에 얻은 데이터로 확인했다고 설명했으나

동료 심사 과정에서도 심사위원 3명 중 2명이 데이터 부족을 지적한 점이 드러나면서 미가공 데이터를 공개하라는 요구는 더 거세졌다.

디아스 교수는 결국 2021년 데이터를 공개했다. 데이터를 살핀 초전도체 연구자들은 데이터가 조작됐다는 의견을 냈다.

호르헤 허쉬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데이터 수치가 이상할 정도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나열돼 있다고 밝혔다.

네이처가 자체적으로 꾸린 심사위원회도 조작 증거를 찾으면서 2022년 9월 디아스 논문을 철회했다.

디아스 교수는 지난해 3월 새로운 초전도체를 찾았다는 논문을 네이처에 또 발표했다.

루테튬과 수소의 화합물의 전기 저항이 제로로 떨어지는 것을 측정했다는 내용이었다.

그때만 해도 국내외 언론들은 반신반의한 분위기였다.

한 차례 실수를 딛고 초전도체 분야의 권위자로 다시 올라섰다는 기사도 있었다.

국내에서 LK-99 논란이 잠잠해지던 지난해 11월, 네이처는 또다시 디아스 교수의 논문을 철회하기로 한다.

논문 게재 이후 여러 연구진이 초전도체를 재현하려고 했으나 아무도 성공하지 못한 것이다.

네이처는 재검토를 거쳐 논문 데이터에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디아스 교수는 두 차례의 철회 이후 로체스터대 자체 조사에서 문제가 발견되면서 학계에서 자취를 감췄다.

초전도체 분야는 지난 수십 년간 디아스 교수 연구와 LK-99와 같은 논란을 여러 차례 겪어왔다.

김찬중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검증을 해보니 사실이 아니어서 사라진 것들이

많고 잘못 측정한 경우도 있다”며 “검증 절차가 다소 미숙하면 그런 사례들이 종종 나온다”고 설명했다.

일련의 사건을 겪으면서 초전도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크게 줄었지만, 여전히 과학자들은 상온·상압 초전도체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루슬란 프로조로프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 교수 연구진이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미아사이트 광물에서 초전도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