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으로 운항 차질 빚는 파나마 운하
가뭄으로 운항 차질 빚는 파나마 운하
수년 전만 해도 하루 한번 같은 장소를 찍기 어려웠지만 저가 발사체가 늘어나고 소형위성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지구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국방 분야는 물론 재해와 재난 감시, 손해 사정, 산업 동향 분석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위성 영상이 활용되고 있다.
국내 위성 서비스 기업 나라스페이스와 조선비즈는 우주 데이터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우주경제 시대를 앞두고 인공위성 영상 데이터와 국방과
산업,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해 분석하는 ‘위성으로 본 세상’과 ‘위성으로 보는 경제’라는 ‘스페이스 저널리즘’ 시리즈를 매주 공개할 예정이다.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가 최근 10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겪으며 선박 운항에 지장을 받고 있다.
운하 운용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호수 수위가 강수량 부족으로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운하 통과를 이용하려는 선박들이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하를 운영하는 파나마운하청은 대형 선박의 선적량에 대한 제한에 들어갔다.
전문가들은 강수량 부족이 장기화하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는 컨테이너 선박에 제한이 생기면서 전 세계 공급망에 차질을 빚고 물류비가 올라갈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10일 인공위성 서비스기업 나라스페이스가 공개한 파나마 운하 인근을 촬영한 위성 레이더 영상과 광학영상을 보면
운하에 물을 공급하는 상수원인
알라후엘라호의 호수 수위가 1년 새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파나마 운하는 길이가 82km로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주요 물류 통로로 사용되고 있다.
운하는 차그레스강을 막으면서 형성된 가툰호와 파나마 만에 건설한 미라플로레스호 사이에 15㎞를 뚫어 만든 쿨레브라 수로로 이뤄져 있다.
가툰호를 중심으로 태평양쪽과 대서양쪽에 각각 갑문 3개씩 모두 6개 갑문으로 이뤄져 있다.
배가 운하를 통과하면서 갑문에 들어서면 문을 닫고 다음 갑문과 수위를 맞추기 위해 물을 끌어다 넣거나 빼는 방식이다.
파나마운하청에 따르면 선박 한 척이 운하를 통과하면서 갑문을 열 때 필요한 물의 양은 약 2억L에 이른다.
하루 평균 37척의 선박이 몰려오는 파나마 운하에서는 매일 90억L가 넘는 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파나마운하청은 올해 들어 파나마 전역이 가뭄에 시달리면서 가툰호의 수위가 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파나마 정부는 또 물을 원활하게 조달하기 위해 인공호수를 만들었는데 알라후엘라호는 차그레스강 상류에 매든댐을 지으면서 형성된 인공 호수다.
나라스페이스 어스페이퍼팀이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해당 지역의 수위 변화를 집중적으로 위성 영상으로 모니터링한 가툰호는 물론
상수원에 해당하는 알라후엘라호 역시 심각한 가뭄의 영향을 받아 수위가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유럽우주국(ESA)이 운영하는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인 센티널-1이 촬영한 알라후엘라호의 영상을 살펴보면 호수 수위는 지난해
4월에 이어 6월 눈에 띄게 낮아진 것으로 포착됐다. SAR위성은 구름을 투과할 수 있을 만큼 빛보다 긴 파장의 전파를 쏴서 되돌아오는 신호를 이미지로 만드는 방식이다.
빛이 없는 밤에도 물체를 포착할 수 있고 구름을 투과할 수 있어 구름 낀 날씨에도 땅 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올해 4월 센티널-1이 촬영한 알라후엘라호 수위를 보면 지난해 6월보다 훨씬 수위가 내려갔고 이달 16일 촬영한 영상에서도 지난해보다
수위가 내려간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상 지난해 4월 이후 운하가 원활하게 운용되기 어려운 상황이었던 것으로 확인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