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유전자 교정 기술 사장 위기 과학자들 국회에 한 목소리

韓 유전자 교정 기술 사장 위기 과학자들 국회에 한 목소리

韓 유전자 교정 기술 사장 위기 과학자들 국회에 한 목소리

韓 유전자 교정 기술 사장 위기 과학자들 국회에 한 목소리

수입에 의존하는 희토류 흡착 섬유로 재활용한다

“유전자교정은 생명공학분야의 게임체인저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신품종 식물 개발 등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부각됐다.

우리나라도 다른 주요국들처럼 유전자교정 식물을 유전자변형생물체로 규제하지 않도록 구분하여 관리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지난 9월 말 국내 생명공학 분야의 과학기술 학술·연구 단체들이 공동으로 국회에 보낸 의견서의 일부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LMO법 개정안)’을 국회에 발의한 직후였다.

이 법 개정안은 유전자교정생물체(GEO)를 유전자변형생물체(GMO)와 별도로 구분하고 GEO에 적용되는 각종 규제를 면제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 의원은 이 법안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인 국내 GEO 관련 기술과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견서는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을 맡고 있는 정영희 전남대 교수가 대표로 작성했다.

한국 생명공학 분야를 대표하는 과학자들이 의견서 서명에 총출동했다.

강성택 한국육종학회 회장과 김창길 한국식물생명공학회 회장, 오세량 한국응용생명화학회 회장, 유장렬 미래식량자원포럼 회장

이선우 한국식물병리학회 회장, 전종성 한국식물학회 회장, 전창후 한국원예학회 회장, 최도일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이 의견서에 동참했다.

대한민국 대표 과학자들이 한 목소리를 낸 건 최 의원이 낸 LMO법 개정안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GEO와 GMO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규제하는 몇 안 되는 국가다.

유럽이 GEO에 대한 규제를 풀기로 하면서 이제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뉴질랜드, 한국만이 GEO를 GMO처럼 규제한다.

뉴질랜드도 2025년부터 규제를 풀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에 머지않아 한국과 남아공만 남는다.

GMO는 다른 생물의 유전자를 종자에 넣어 새 특성을 부여한 작물을 말한다.

1996년 GMO 옥수수나 콩이 본격적으로 재배가 시작된 이후 28년 동안 전 세계에서 단 한 건도 인체나 환경에 문제가 있다는 보고가 없었다.

그럼에도 GMO에 대한 거부감은 적지 않고, 상용화를 위해서는 강도 높은 안전성 심사를 받아야 한다.

반면 GEO는 효소 복합체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작물의 유전자 DNA 염기서열 중 일부분만 바꾼 것이다.

외래 유전자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자연 상태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와 다를 게 없다.

GEO 기술이 발전하면서 미국과 일본, 남미 등 대부분 국가가 GEO에 대한 규제를 풀고 있다.

가장 보수적이던 유럽도 규제를 풀 준비를 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GMO와 GEO를 구분해 관리하고 있다.

GEO는 일반 식물만큼 안전하기 때문에 GMO처럼 안전성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