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검토 시작도 못한 차세대발사체 달 착륙도 재차 연기 위기
성능 검토 시작도 못한 차세대발사체 달 착륙도 재차 연기 위기
달과 화성 같은 심우주 탐사의 핵심 역할을 맡게 될 차세대발사체 개발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을 책임질 체계종합기업 선정이 늦어지면서 성능과 사양, 개발이 필요한 기술을 결정하는
‘체계 요구조건검토회의(System Requirement Review·SRR)’가 덩달아 지연됐다.
차세대발사체 상단용 터보펌프 시험 중에 폭발 사고가 발생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의 시험 설비도 아직 복구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차세대발사체 개발 사업 초기부터 일정이 지연되면서 2030년 1차 발사에 대해 회의적인 전망이 벌써부터 나온다.
20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작년 12월 13일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위한 ‘체계 요구조건 검토회의(SRR·System Requirement Review)’를 개최했다.
차세대발사체는 기본적인 틀만 결정된 상태다.
2단 발사체로 1단은 100t급 엔진 5기, 2단은 10t급 엔진 2기가 들어간다. 구체적인 성능과 제원, 부품들의 기술 수준은 SRR 회의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
SRR은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기 전 사업의 요구조건을 파악하고 발사체의 제원·사양·설계를 검토하는 과정이다.
필요한 기술을 검토하고 사업 목적을 충족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개발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항우연은 SRR의 결과를 토대로 체계 운용 방법과 절차 등을 결정하는 ‘체계 설계 검토회의(System Design Review·SDR)’를 올해 말쯤 개최할 예정이다.
하지만 작년 12월에 열린 SRR 회의는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끝났다.
차세대발사체 개발 일정상 작년 안에 SRR을 열어야 했기 때문에 계속 미루다 시한을 넘기기 직전인 12월 중순에야 소규모로 SRR을 열었다고 한다.
우주항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SRR을 열었다는 기록을 남기기 위한 차원이었을 뿐 차세대발사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아무 것도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4월이나 5월쯤 SRR을 다시 개최해 차세대발사체의 구체적인 제원을 결정할 예정이다. 당
초 계획보다 반년이 늦어지는 셈이다.
차세대발사체 SRR이 지연된 건 체계종합기업 선정 절차가 늦어진 탓이다.
체계종합기업이 고도화 사업부터 참여하는 누리호의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과 달리,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은 시스템 설계 단계부터 체계종합기업이 항우연과 협력한다.
사업 취지상 SRR에 체계종합기업이 참석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술을 검토해야 한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작년 10월에 차세대발사체 체계종합기업 선정이 끝났어야 한다.
하지만 공정성을 확보하겠다며 조달청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일정이 지체됐다.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입찰은 지난 19일 시작돼 21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 2월 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거쳐 3월 중 최종 사업자가 결정된다.
현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153,900원 ▲ 2,000 1.32%)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2파전 양상이다.
박창수 항우연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단장은 “차세대 발사체는 체계종합기업과 공동 설계하는 부분이 포함돼 있어 선정 이후
올해 4월쯤 또 한 번 SRR을 계획하고 있다”며 “(SRR 진행하기 위해) 체계종합기업을 빠르게 선정하고 싶었지만
중앙조달 방식을 채택하면서 여러 가지 검토해야 할 부분이 많아져 늦어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