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全無 딥시크처럼 젊은 과학자에게 맡기자
全無 딥시크처럼 젊은 과학자에게 맡기자
최근 세계를 뒤흔든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이제 갓 마흔인 1985년생 량원펑(梁文鋒)이 창업했다.
딥시크의 핵심 개발자로 알려진 뤄푸리(羅福莉)는 1995년생으로 올해 서른이다.
두 사람 외에도 딥시크에는 ’2030′ 개발자와 엔지니어가 주축을 이룬다.
딥시크는 많은 자본 없이도 젊은 인재의 힘으로 실리콘밸리 빅테크들과 경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19일 젊은 과학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딥시크는 젊은 연구자가 개발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젊은 과학자의 창의적인 도전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끄는 힘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국판 딥시크가 나오려면 정부가 어떻게 해야 할까.
조선비즈는 이날 최 권한대행과의 간담회에 참석한 젊은 과학자들과 같은 날 열린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 참석한 과학자들에게 의견을 들었다.
30대 단장 없는 IBS…해외처럼 기회 달라
최 대행 간담회에 참석한 김근수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파격적인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1982년생인 김 교수는 지난해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지원하는 기초연구사업 중 최상위 등급인 글로벌 리더연구자에 선정됐다.
40대 초반이지만 이미 국내 고체물리학과 응집물질물리학 분야에서는 리더로 꼽힌다.
김 교수는 “젊은 연구자에게 리더 연구를 맡긴다던가 하는 파격적인 투자를 했을 때 예상 못한 좋은 성과가 폭발적으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최근에 갈수록 R&D 투자가 보수적으로 흐르면서 젊은 연구자에게 파격적인 기회가 잘 오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장에 젊은 과학자가 부족한 현실을 꼬집었다.
IBS 연구단장은 연구비 부담 없이 자유로운 연구가 가능한 자리로 꼽힌다.
젊은 과학자가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도전적 연구를 할만 한 자리지만, 대부분 이미 성과를 인정받은 과학자들이 맡는다.
현재 IBS에는 30개 연구단이 있는데 이 중 가장 젊은 단장이 48세인 구본경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이다.
1960년대생 연구단장이 대부분이다 보니 90학번 단장도 보기 힘들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IBS가 모델로 삼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는 다르다.
40대 초반은 물론이고 30대 연구단장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2023년에는 강사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가 막스플랑크연구소 기후과학연구소 단장에 임명됐는데 당시 나이가 42세였다.
지난해 막스플랑크연구소 단장에 임명된 차미영 KAIST 교수도 44세였다.
차 교수는 IBS에서 연구단장 아래 CI(Chief Investigator·수석연구자급)를 맡고 있었는데, 막스플랑크에서는 단장으로 영입했다.
김 교수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하면 젊은 과학자를 과감하게 단장으로 뽑는다”며 “젊은 과학자에게 기회를 줘야 10년, 20년 뒤에 노벨상을 받을 만한 연구가 나오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최 대행 간담회에 참석한 박성준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교수도 “국내 정부 R&D 과제가 집단 과제, 개인 과제로 나뉘는데 젊은 과학자를 도와줄 수 있는 종류의 대형 과제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며 “해외에는 이런 종류의 과제가 많은데 국내에는 충분하지 않다 보니 정부가 신경을 써 달라는 이야기였다”고 말했다.